'망각'은 뇌의 가장 유익한 기능 "너무 두려워 말라"

최현미 기자 2022. 5. 20. 1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컬럼비아대 신경학 및 정신의학 교수로 노화와 치매 전문가인 저자는 우리가 일상에서 빈번하게 하는 어떤 '걱정'에 '기억 강박이 불러온 일종의 환상통'이라는 이름을 붙인다.

저자는 우리가 걱정하는 증상 중 대다수는 정상적인 망각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망각이란 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유익한 뇌의 기능으로, 우리 정신이 제대로 작동하는 데 꼭 필요하다고 한다.

저자는 망각이 우리에게 얼마나 유익한지를 잊지 못해서 일어나는 상황을 통해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왜 잊어야 할까 / 스콧 A. 스몰 지음 하윤숙 옮김 북트리거

미국 컬럼비아대 신경학 및 정신의학 교수로 노화와 치매 전문가인 저자는 우리가 일상에서 빈번하게 하는 어떤 ‘걱정’에 ‘기억 강박이 불러온 일종의 환상통’이라는 이름을 붙인다. 저자가 ‘진짜 고통’이 아니라 그저 ‘환상통’이라고 말하는 걱정이란, 혹시 치매 혹은 알츠하이머에 걸린 건 아닐까 하는 걱정이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익숙한 단어, 계좌번호, 게다가 가까운 사람의 이름이 생각나지 않을 때 치매를 염려한다. 실제로 많은 이가 이 같은 걱정 때문에 저자를 찾아온다고 한다. 저자는 우리가 걱정하는 증상 중 대다수는 정상적인 망각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 같은 환상통의 이유는 ‘기억은 좋은 것, 망각은 나쁜 것, 기억은 정상, 망각은 병’이라고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저자는 망각이란 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유익한 뇌의 기능으로, 우리 정신이 제대로 작동하는 데 꼭 필요하다고 한다. 이른바 자연스럽고 유익한 ‘정상 망각’이다. 우리 뇌에는 기억하기 위한 도구가 내장돼 있는 것처럼 망각하기 위한 도구 역시 들어 있다. 우리가 의식하지 못할 때도 뇌는 끊임없이 망각의 기능을 하고 있다. 망각이야말로 적극적인 과정이며, 인지 능력과 창의력 그리고 정서적 행복과 사회적 건강에 이롭다는 것이다.

저자는 망각이 우리에게 얼마나 유익한지를 잊지 못해서 일어나는 상황을 통해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대표적인 예가 서번트 증후군이다. 서번트 증후군을 앓는 이들은 기계적 암기 능력엔 뛰어나지만 하나하나 기억하고 잊어버리지 않는 그 능력 탓에 일상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우리를 둘러싼 환경은 눈에 보이든 안 보이든 끊임없이 변하기 마련인데 자폐증 환자 특히 아이들은 변화를 너무나 고통스럽게 느끼고 늘 기억 그대로의 세상에 머물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이목구비를 하나하나 따로 인식할 뿐 얼굴 전체를 통합하지 못하는 안면인식장애 역시 세부 사항을 망각하고 전체를 일반화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개인과 사회 차원의 분노, 공포, 편견 또한 잊지 못한 결과이다. 인간은 누구나 늙고, 망각은 노화의 한 과정이기도 하다는 저자는 망각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라고 조언한다. 284쪽, 1만7500원.

최현미 기자 chm@munhwa.com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