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렌체의 이수만(SM)이 미켈란젤로를 캐스팅한 사연(예썰의전당)

이슬기 2022. 5. 20. 10: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예썰의 전당'이 르네상스를 꽃피운 예술 도시 피렌체로 랜선 여행을 떠난다.

KBS1TV '예썰의 전당'은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명작에 대한 썰을 풀어내는 예술 토크쇼로, MC 김구라와 재재, 미술사학자 양정무, 정치학박사 김지윤, 뇌과학자 장동선, 피아니스트 조은아가 출연한다.

5월 22일 방송하는 '예썰의 전당'에서는 재재가 피렌체 여행 중 호흡곤란에 빠진 남자의 사연을 소개한다.

피렌체가 숨 막히게 아름다운 예술 도시로 거듭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엔 이슬기 기자]

‘예썰의 전당’이 르네상스를 꽃피운 예술 도시 피렌체로 랜선 여행을 떠난다.

KBS1TV ‘예썰의 전당’은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명작에 대한 썰을 풀어내는 예술 토크쇼로, MC 김구라와 재재, 미술사학자 양정무, 정치학박사 김지윤, 뇌과학자 장동선, 피아니스트 조은아가 출연한다.

5월 22일 방송하는 ‘예썰의 전당’에서는 재재가 피렌체 여행 중 호흡곤란에 빠진 남자의 사연을 소개한다. 그는 바로 소설 ‘적과 흑’을 쓴 프랑스 대문호 스탕달. 이후에도 피렌체를 찾아온 관광객들이 한 달에 한 명꼴로 쓰러졌다는데. 피렌체가 숨 막히게 아름다운 예술 도시로 거듭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또 15세기 피렌체를 들썩인 공모전도 소개된다. 상금 ‘2억 원’이 걸린 아이디어 공모전. 목표는 두오모의 돔을 올리는 것. 현재 두오모는 피렌체 하면 빼놓을 수 없는 랜드마크이다. 하지만 건설 당시에는 규모가 너무 커 100년이 넘도록 돔을 올릴 수 없었다고. 설계가 불가능에 가까웠기 때문에 많은 상금에도 지원자는 겨우 열 명 남짓이었다.

이때 나타난 사람이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그런데 사실 그는 건축 경험이 전혀 없었다고 한다. 브루넬레스키의 원래 직업이 밝혀지자 출연자들은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고 양정무 교수는 “말도 안 되는 일이다”라고 표현했다. 건축 초보 브루넬레스키는 어떻게 불가능했던 일을 가능하게 했을까. 경쟁을 통해 전설이 된 두오모의 뒷이야기를 들어본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공통점도 전파를 탄다. 바로 메디치 가문의 후원을 받았다는 것. 메디치가가 38년간 예술 사업에 투자한 돈은 6600억 원이나 된다. 양정무 교수가 “르네상스는 메디치가의 지갑에서 나왔다”라고 표현할 정도이다. 또한 양 교수는 “메디치가는 (예술을 보는) 안목도 있었다”며 로렌초 데 메디치가 어린 미켈란젤로의 재능을 발견한 일화를 소개했다.

이에 재재가 “미켈란젤로가 메디치 엔터 연습생으로 캐스팅된 거 아니냐”라고 말해 출연자들을 웃게 했다. 한편 재재는 자신을 ‘재디치’라 소개하며 사실 메디치가와 인연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는데. 재재와도 인연이 있었던 메디치가의 모든 것을 알아본다.

피렌체의 중심에서 르네상스를 이끌었던 메디치 가문. 하지만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나를 만든 것도 메디치 가문이고, 나를 파멸시킨 것도 메디치 가문이다”라고 기록했다. 이처럼 메디치가의 후원을 달가워하지 않는 예술가도 있었다. 메디치가가 예술인들을 후원한 ‘진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피렌체 최대 스폰서, 메디치가의 속내를 들여다본다. (사진=KBS1TV ‘예썰의 전당’ 제공)

뉴스엔 이슬기 reeskk@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en@newsen.com copyrightⓒ 뉴스엔.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