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리뷰>역사를 바꾼 것은 천재들이 아닌 '집단적 뇌'

박동미 기자 2022. 5. 20. 10: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인슈타인, 피카소, 모차르트. 위대한 지성과 번뜩이는 천재들.

지금의 인류를 있게 한 건 '커다란 뇌'가 아니라 뇌와 뇌, 사람과 사람, 지식과 지식을 연결한 '집단적 뇌'라는 것.

저자는 이것이야말로 '집단적 뇌', 즉 '집단적 창조성'의 발현을 잘 보여주는 발명품이라고 말한다.

책은 이를 '창조적 사고의 세계화'라 명명하는데, 물리적 장소나 거리가 걸림돌이 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뇌가 연결되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창조적 사고의 놀라운 역사 | 슈테판 클라인 지음, 유영미 옮김 | 어크로스

아인슈타인, 피카소, 모차르트…. 위대한 지성과 번뜩이는 천재들. 이들이 역사를 바꿔왔다. 책은 이런 통념을 뒤집는다. 독일의 과학저술가인 저자는 뇌과학, 인류학, 고고학 등 다양한 학술 연구의 최신 성과들을 통해 창조성이 몇 사람에게만 주어진 특별함이 아니라고 말한다. 지금의 인류를 있게 한 건 ‘커다란 뇌’가 아니라 뇌와 뇌, 사람과 사람, 지식과 지식을 연결한 ‘집단적 뇌’라는 것. 책은 330만 년 전 석기 유적지부터 15세기 구텐베르크 인쇄소를 거쳐, 알파고로 이어지는 창조의 궤적을 좇으며 뇌가 어떻게 진화하고 작동했는지 살핀다.

책에 따르면 창조적 사고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건은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발명이다. 저자는 이것이야말로 ‘집단적 뇌’, 즉 ‘집단적 창조성’의 발현을 잘 보여주는 발명품이라고 말한다. 도시마다 인쇄소가 생기면서 정보가 정확히 복제되며 폭발적으로 확산했다. 책은 이를 ‘창조적 사고의 세계화’라 명명하는데, 물리적 장소나 거리가 걸림돌이 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뇌가 연결되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도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에 빚지고 있다. 항해를 떠날 때 그의 손에는 천문학자 레기오몬타누스가 펴낸 ‘천체 위치추산표’가 들려 있었고, 이 수단에 힘입어 미지의 세계로 여행을 떠날 수 있었다. 인간이 발휘하는 창조성 대부분은 이런 ‘탐구적 창조성’에 힘입은 것이다. 영국의 수학자 제이콥 브로노프스키도 “인류가 지구의 지배자가 되는 과정은 단순히 지능의 승리가 아니라 상상력의 승리”라고 말한 바 있다.

그렇다면 인공지능(AI)의 등장은 탐구적 창조성의 위기일까. 지금의 AI는 규칙을 입력하면 스스로 판단을 내리고 게임 전략까지 개발해 낸다. 기계가 인간보다 빠르게 해결책을 모색하는 세상에서 인간 지성은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을까. 저자는 인류 발전의 근원인 ‘창조적 사고’와 ‘집단적 뇌’가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한다. 그러면서 창조적 사고를 가능하게 했던 인류의 교류와 협력, 무엇이든 호기심을 갖고 바라보는 어린아이와 같은 삶의 자세가 창조성의 미래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이 대목에서 “어린아이와 같아야 천국에 간다”고 한 성경 구절이 떠오르는 건, 지나친 비약일까. 284쪽, 1만6800원.

박동미 기자 pdm@munhwa.com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