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A 전문 기업으로 거듭날 준비 끝났다"..바이오이즈의 새 도전

이광수 2022. 5. 20. 08: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성천 바이오이즈 대표 인터뷰
모더나·화이자 방식보다 비용절감 측면에서 앞서
시리즈B 30억~50억원 투자 유치중..대량생산 나선다
2024년 코스닥 상장 목표

[이데일리 이광수 기자] 바이오이즈가 리보핵산(RNA) 전문 기업으로 거듭난다. RNA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해 확보했다. 지난 2월 국내 특허도 취득했다. 바이오이즈는 최근 생산 공장을 위한 투자유치에 돌입해 본격적인 스케일업에 나섰다. 이르면 내후년 코스닥 상장(IPO)을 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김성천 바이오이즈 대표는 19일 이데일리와 만나 “RNA(리보핵산)을 대량 생산하는 기술을 자체 확보했고 국내 특허를 취득했다”고 말했다. 특허이름은 ‘관심 RNA 생산을 위한 전사-번역을 하는 무세포 조성물, 세포 및 이들의 방법’이다.

김성천 바이오이즈 대표(사진=바이오이즈)
시장 일각에서는 바이오이즈의 기술력에 의구심을 갖고있다. 바이오이즈는 진단기기업체로 인식돼 있어서다. 하지만 바이오이즈는 2013년 회사 설립 이후부터 RNA 연구를 진행해온 역사가 있다. 김 대표는 “바이오이즈는 압타머(Aptamer)를 기반으로 RNA를 연구해와 RNA가 생소하지 않다”며 “펜데믹 이후 RNA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개발에 나섰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이어 “RNA 생산 기술은 모두 해외 기술을 사용하고 있어서 국내에서는 위탁생산(CMO)에 머물러 있는데 바이오이즈는 자체 기술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글로벌 바이오에 비해 후발주자이지만 화이자(PFE)와 모더나(MRNA)가 생산하는 ‘IVT(In vitro Transcription)’ 방식이 아닌 자체 개발 방식인 CFE(Cell Free Expression)와 CE(Cell Expression)으로 RNA를 생산하고 있어 기존 특허를 회피할 수 있다는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미 RNA 대량 생산 기술을 국내 바이오기업인 피토맵에 기술이전(라이선스 아웃)했다. 피토맵은 김성룡 서강대 생명과학과 교수를 중심으로 학내 창업한 백신 개발 업체다. 그는 “피토맵에 기술이전(라이선스 아웃)을 했고, 피토맵이 해당 기술로 국과과제로도 선정돼 기술력을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바이오이즈가 개발한 CFE RNA 기술 (자료=바이오이즈)
김 대표는 “자체 기술인 CFE·CE 방식이 우수한 것은 생산 비용 측면에서 IVT 방식에 비해 10분의 1정도로 저렴하고 원료 공급도 용이하다는 것”이라며 “모더나가 펜데믹 초기에 공급 이슈가 있었던 것도 생산 방식의 차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분야 글로벌 플레이어는 미국의 그린라이트바이오사이언스(GRNA)가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가 그린라이트바이오사이언스와 mRNA(메신저리보핵산) 백신 후보물질 원료의약품 CMO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그린라이트바이오사이언스는 IVT 방식이 아닌 CF(Cell Free) 방식으로 RNA를 생산한다. 마찬가지로 IVT 방식에 비해서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그린라이트바이오사이언스의 기술이라면 그램당 원가는 2000달러(약 255만원) 정도 들 것으로 추산된다.

김 대표는 “바이오이즈의 기술은 구성이나 원리를 봤을 때 이보다 더 낮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보다 정확한 원가를 계산하기 위해 설비를 갖추기 위한 투자금 유치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회사 측이 예상하는 투자 유치 규모는 30~50억원이다. 이 중 20억원 정도는 대량 생산을 위한 공장을 갖추는데 사용하고 나머지는 인재를 확보하는데 사용할 계획이다.

RNA 생산 플랫폼 비교 표 (자료=바이오이즈)
시장 분석 업체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RNA 백신·치료제 시장 규모는 13조원으로 추산됐다. 이 중 10% 정도가 RNA 생산 시장이라고 가정하고 이 중 일부만 확보해도 유의미한 매출을 달성 할 수 있다는게 그의 설명이다.

김 대표는 서울대 생물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국립보건원 종양연구센터에서 유전체를 연구하는 연구원으로 일했다. 그는 2000년 바이오 벤처 ‘제노프라’를 설립하면서 바이오 벤처기업인이 됐다. 제노프라는 2008년 사업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어 청산했다. 바이오이즈는 그가 2013년 다시 설립한 바이오벤처다.

이광수 (gs88@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