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검찰 장악한 '윤석열 사단', 수사 중립성 잃어선 안 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취임 하루 만인 그제 전격적인 인사를 단행했다.
법무검찰 '빅3'로 꼽히는 서울중앙지검장에 송경호 수원고검 검사를, 검찰 인사·예산을 관장하는 법무부 검찰국장에 신자용 서울고검 송무부장을 승진 발탁했다.
이 과정에서 인사의 기준과 원칙 등을 논의하는 검찰인사위원회도 패싱했다.
검찰 인사는 기획과 특수, 공안, 형사 등 각 직능의 전문성 원칙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뤄지는 게 옳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법무검찰 ‘빅3’로 꼽히는 서울중앙지검장에 송경호 수원고검 검사를, 검찰 인사·예산을 관장하는 법무부 검찰국장에 신자용 서울고검 송무부장을 승진 발탁했다. 송 검사는 한동훈 장관과 함께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 수사를 지휘했다. 윤 대통령이 검찰총장 재직시절 대검기획조정부장을 지낸 이원석 제주지검장은 고검장급인 대검 차장에 임명됐다. 문재인정부 실세였던 이성윤 서울고검장, 심재철 서울남부지검장 등은 한직으로 발령났다. 이 과정에서 인사의 기준과 원칙 등을 논의하는 검찰인사위원회도 패싱했다.
이전 정부 실세를 몰아내고 탄압받던 이들을 ‘복붙(복사 후 붙여넣기)’하듯 불러들인 건 인사보복이다.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과 공정성을 높이겠다”던 한 장관 취임사가 무색할 정도다. 더불어민주당이 “측근 검사들로 호위무사대라도 만들겠다는 것이냐. 아니면 끝끝내 검찰공화국을 만들겠다는 것이냐”고 비난한 건 인지상정이다. 검찰 인사는 기획과 특수, 공안, 형사 등 각 직능의 전문성 원칙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뤄지는 게 옳다. 수요가 있다면 사표를 제출한 서울중앙지검장과 대검 차장 등에 국한한 ‘원포인트’ 인사에 그쳐야 했다. 굳이 서두를 일이 아니었다.
가뜩이나 검찰총장도 공석이다. 윤석열정부와 한 장관은 이전 정부가 검찰총장 의견을 패싱한 채 자기 사람을 심자 강하게 반발했다. 명백한 자기모순이다. 굳이 업무의 연속성 차원이라면 검찰총장 후보 추천위원회부터 꾸리는 게 순리다. ‘비정상의 정상화’도 좋지만 과유불급이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재연되는 보복성 인사의 고리를 끊어내야 한다. 향후 이어질 총장과 검사장, 차·부장 인사에서는 능력 위주의 인사로 균형감을 보완해야 한다. 권력형 비리에 대한 단죄는 필요하지만 ‘정치보복’을 의심받는 수사는 검찰의 중립성만 해칠 뿐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