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비극 만든 책임자들도 용서 구하라"

윤기은 기자 2022. 5. 19. 21:5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버스 돌진 광주 시위대 “사과”
눈물 쏟아낸 경찰 유족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위 진압에 참여했다가 돌진한 버스에 치여 순직한 경찰 정충길 경사의 유족인 박덕님씨(가운데)와 당시 버스를 운전한 배모씨가 19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경찰충혼탑 앞에서 열린 ‘함평경찰서 순직 경찰 유족과 사건 당사자 간 사과와 용서의 장’에서 서로의 손을 맞잡고 있다. 권도현 기자
1980년 5월20일 노동청 앞
야간 최루가스에 시야 가려
들이받힌 경찰들…4명 숨져
42년 만에 ‘사과·용서의 장’
당시 광주 투입됐던 군·경
공권력 가해·피해자 양면성

“죄송합니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사과드립니다.”

배모씨(76)는 19일 자신이 몰던 차에 치여 숨진 정충길 경사의 아들 정원영씨(54)의 손을 맞잡고 사과의 뜻을 전했다. 정씨는 30초간의 포옹으로 화답했다. 사건이 일어난 지 42년 만이었다. 이날 배씨는 국립현충원 내 희생자들이 묻힌 묘지를 찾아 헌화하고 묵념했다.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배씨가 비석을 쓰다듬는 동안 정 경사의 아내 박덕님씨(82)는 통곡하며 손수건으로 눈물을 훔쳤다.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진상규명위)는 이날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 경찰충혼탑 앞에서 ‘함평경찰서 순직 경찰 유족과 사건 당사자 간 사과와 용서의 장’을 마련했다. 5·18 때 버스에 치여 순직한 정 경사와 강정웅·이세홍 경장 등 피해자 3명의 유족 8명과 배씨가 참석했다.

1980년 5월20일은 이들 유족에게 참혹한 날이었다. 함평경찰서 소속 경찰들은 정부의 출동 명령을 받고 광주시 노동청 앞에서 시위대의 도청 진입을 막고 있었다. 오후 9시30분쯤 배씨가 운전하던 고속버스 한 대가 돌진해 경찰들을 치었다. 현장에서 경찰관 4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을 입었다.

당시 배씨는 버스에 시민군을 태우고 있었다. 배씨는 2017년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야간 시간대이고 사고 장소 주변에 뿌려진 최루가스로 인해 시야가 보이지 않았다”고 했다. 배씨는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사면돼 1982년 12월 석방됐다. 법원은 1998년 재심에서 “헌정 질서를 수호하려는 행위로서 정당행위로 인정된다”며 배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정씨는 “오늘 배씨의 사과를 받겠다. 하지만 비극을 만든 책임자들이 먼저 분명하게 사과해야 한다. 그날의 상황 자체가 역사에 없었어야 했다”며 유족 대표로 화해문을 낭독했다.

이세홍 경장의 모친 강귀례씨(82)는 “어떻게 용서가… 말로 용서한다고 용서가 되겠느냐”면서 “우리가 살아온 생각을 하면 어떻게 말로 다 할 수가 있겠나”라고 말했다.

배씨는 “제가 지금 와서 뭐라 드릴 말씀이 없다”며 “저도 나름대로 그 상황과 이야기를 끄집어내고 싶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그 현장을 꿈에라도 한 번 꿔봤으면 하는 생각도 들었는데 그런 것은 도저히 (꿈에) 나오지 않더라”며 “제가 뭐라고 말씀을 드릴 수가 없다. 죄송하다. 막막하고 얼굴을 들 수가 없다”며 고개를 떨궜다.

5·18민주화운동 진압 작전에 투입된 군경은 그간 피해자로 인정받지 못했다. 대신 ‘광주 민주화운동을 진압한 공권력에 가담한 나쁜 사람’이라는 따가운 시선을 받아야 했다. 정씨는 “아버지의 피해 사실을 말했지만 이웃으로부터 ‘그래도 경찰이었잖아’라는 말을 들었다”며 “아버지의 희생을 인정받기 위해 청와대나 국회 등에도 찾아간 적이 있지만 외면받았다”고 말했다.

유족들은 5·18민주화운동을 진압하는 데 투입된 군경의 피해를 조사하고 피해자 및 유족에 대한 보상안을 마련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그러면서 배씨의 사과가 고인과 유족들이 피해 사실을 인정받는 가교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또 5·18 당시 투입된 군경을 비판해온 5·18 관련 단체들과 화해하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

윤기은 기자 energye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