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킬체인 등 '한국형 3축체계' 용어 다시 쓴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의 핵·미사일 공격을 억제·방어·반격하는 우리 군의 대응체계를 지칭하는 '한국형 3축 체계' 용어가 공식 발표 및 문서상에서 다시 사용된다.
'3축 체계'란 우리 군의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와 유사시 북한 핵·미사일 시설을 선제 타격하는 '킬체인'(Kill Chain), 그리고 북한으로부터 공격을 받았을 경우에 대비한 '대량응징보복'(KMPR) 전력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북한의 핵·미사일 공격을 억제·방어·반격하는 우리 군의 대응체계를 지칭하는 '한국형 3축 체계' 용어가 공식 발표 및 문서상에서 다시 사용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19일 기자들과 만나 "어제(18일)부로 '3축 체계' 관련 명칭을 변경하기로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는 관련 개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 논의 후 이종섭 장관이 승인을 받아 바꾸기로 했다"며 "앞으로 국방백서나 국방부 차원에서 발표할 때 공식적으로 해당 용어(3축 체계)를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3축 체계'란 우리 군의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와 유사시 북한 핵·미사일 시설을 선제 타격하는 '킬체인'(Kill Chain), 그리고 북한으로부터 공격을 받았을 경우에 대비한 '대량응징보복'(KMPR) 전력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이명박·박근혜 정부 땐 이 '3축 체계' 용어를 썼으나, 문재인 정부 들어 북한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킬체인은 '전략표적 타격'으로, KMPR은 '압도적 대응'으로 표현이 바뀌었다.
그리고 이 둘은 다시 '전략적 타격체계'라는 명칭으로 합쳐졌고, 이후 국방백서 등에선 KAMD와 전략적 타격체계를 묶어 '핵·대량살상무기(WMD) 대응체계'란 용어를 사용했다.
군 당국의 '3축 체계' 용어 부활 결정은 윤석열 정부의 110대 국정과제에 포함된 '북핵·미사일 위협 대응 능력의 획기적 보강'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기존 3축 체계를 강화해 우리 군의 대비태세를 높이겠다는 의지를 표명해왔다.
hg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40대 상사가 팬티만 입고 내 침대에"…귀가한 20대 여직원 경악
- "평생 불륜 70세 부친, 성기능 잃고도 또 바람…망가뜨리고 싶다"
- 김혜수, 한남동 '80억 고급빌라' 매입…전액 현금 매수
- "결혼 생각한 여친 '유부녀' 고백에도 마음 더 커졌다…잘 맞는데 어쩌죠"
- "'남친 볼 시간에 공부해라' 인신공격 상사…점심엔 나만 빼놓고 식사"
- 괴한 흉기에 수십번 찔리고도 살았다…"가슴 보형물의 기적"
- 가희 "아빠한테 맞고 피 묻은 이불 빨던 엄마…나도 맞는 게 일상이었다"
- "엄마가 여행 중…다시 바다로 보내주세요" 해변 유리병 속 메시지 '뭉클'
- '박수홍♥' 김다예, 90㎏서 30㎏ 감량 근황…물오른 미모 [N샷]
- "실수에 사과 없이 '몰랐어요'…청소도 대~충" 20대 알바에 사장 한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