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shing peace on war-torn Kharkiv (KOR)

2022. 5. 19. 09: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크라이나 북동부에 있는 제2의 도시 하르키우는 한국인에게 낯선 도시다.

강제 이주당한 고려인의 삶만큼이나 하르키우란 도시도 근·현대사에서 부침이 많았다.

1942년 소련은 쾌속 진격하던 독일군을 막아내기 위해 하르키우에서 선공했지만, 결국 독일군의 역습에 무너졌다.

석 달째 치열한 전투 끝에 우크라이나 당국이 하르키우에서 러시아군을 완전히 몰아냈다고 선언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oreans may not be familiar with Kharkiv, the second largest city in Ukraine. As there is no direct flight to Kyiv, the hist..

HAN YOUNG-IK The author is the politic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Koreans may not be familiar with Kharkiv, the second largest city in Ukraine. As there is no direct flight to Kyiv, the historic capital of Ukraine, it is only natural that Koreans don’t know much about the city.

However, Kharkiv in Ukraine, which some may say is “a country on the other side of the earth with not much to do with Korea” is actually not a place with no ties. The only school for Koryoin (ethnic Koreans from post-Soviet countries) in Ukraine is located there.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about 20,000 Koryoin in Ukraine, those who were forcibly displaced by Stalin and their descendants. Another relationship, a bad one, is that Kharkiv was the main production base of the T-34 tank, which left the South Korean forces in a panic in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War (1950-53).

Just like the lives of the displaced Koryoin, the city of Kharkiv had many ups and downs in modern history. During World War II, the Soviet Union and Nazi Germany had four major battles over the city. The battles in 1942 and 1943 were especially large. In 1942, Soviet forces attacked Kharkiv first in order to stop the advancing German forces but were defeated by the German counter attacks. After losing Kharkiv, the Soviet forces were pushed to Stalingrad, modern-day Volgograd.

In the battle in 1943, the Soviets started the attack. After having taken 400,000 German prisoners of war in Stalingrad, the Soviets were pushing the Germans recklessly. However, Germany waited until the Soviet forces advanced to Kharkiv and struck back. The Soviet advance was delayed. After many battles, Kharkiv was almost in ruins.

Even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Kharkiv went through political turmoil. In 2014, the city was at the center of chaos during Euromaidan, large-scale waves of protests calling for Ukraine’s entry to the European Union. Amid the confrontation between pro-Russian groups and pro-Western groups, Kharkiv was the stronghold of Victor Yanukovych, a pro-Russian politician. Located only 50 kilometers (31 miles) from the Russian border, many residents are of Russian heritage.

In the Russia-Ukraine war, Kharkiv is once again engulfed in fire. From the beginning of the war, universities and city hall buildings were indiscriminately bombed by the Russians. Three months into the fierce battle, the Ukrainian authorities declared that the Russian forces were completely driven out from Kharkiv. The soldiers who reached the Russian border sent a message that they had made it. I wish peace would come to Kharkiv.

하르키우한영익 정치에디터

우크라이나 북동부에 있는 제2의 도시 하르키우는 한국인에게 낯선 도시다. 우크라이나의 유서 깊은 수도 키이우와 직항로가 연결돼 있지 않았던 만큼, 넘버 투 도시가 생소한 건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누군가 "우리와 아무 관계 없는 지구 반대편 나라"라고 했던 우크라이나 하르키우는 한국과 인연이 전혀 없는 곳은 아니다. 우크라이나 유일의 고려인 학교가 이곳에 있다. 우크라이나 고려인은 총 3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 스탈린에 의해 강제로 이주당한 이들과 그들의 후손이다. 하르키우가 6·25 전쟁 초기 국군을 패닉으로 몰아넣었던 'T-34' 전차의 주요 생산기지였다는 점에서 악연도 있던 곳이다.

강제 이주당한 고려인의 삶만큼이나 하르키우란 도시도 근·현대사에서 부침이 많았다. 제2차 세계대전 때 소련과 나치독일은 이 도시에서만 네 차례나 대규모 공방전을 벌였다. 규모가 컸던 건 1942년과 1943년 전투다. 1942년 소련은 쾌속 진격하던 독일군을 막아내기 위해 하르키우에서 선공했지만, 결국 독일군의 역습에 무너졌다. 하르키우를 빼앗긴 소련군은 스탈린그라드(볼고그라드)까지 밀렸다.

1943년 공방전은 반대로 소련이 먼저 공격에 나섰다. 스탈린그라드에서 독일군 40만 명을 포로로 잡은 소련이 파죽지세로 독일을 밀어붙이던 상황이었다. 그러나 독일은 소련이 하르키우까지 진격해 오길 기다렸다가 역습에 나섰다. 소련의 진격은 늦춰졌다. 이렇게 여러 차례 공방전이 벌어지는 과정에서 하르키우는 폐허가 되다시피 했다.

하르키우는 소련이 해체된 뒤에도 정치적 혼란기를 겪었다. 2014년 유로마이단(우크라이나의 유럽연합 가입을 요구한 대규모 시위) 당시 혼란의 한가운데 있었다. 하르키우는 친러파와 친서방파의 대결로 인한 정국 혼돈 상황에서 친러 정치인이었던 빅토르 야누코비치의 지지 기반이기도 했다. 러시아 국경까지 불과 50㎞밖에 떨어져있지 않아 러시아계 시민도 다수 거주하기 때문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하르키우는 또 한 번 화마에 휩싸였다. 전쟁 초기부터 하르키우 대학교와 시청사 등이 러시아군의 무차별 폭격을 당했다. 석 달째 치열한 전투 끝에 우크라이나 당국이 하르키우에서 러시아군을 완전히 몰아냈다고 선언했다. 러시아 국경까지 도달한 군인들이 "우리가 해냈다"는 메시지도 보냈다. 하르키우가 평화를 찾길 기원한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