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교, 김치 '파오차이' 표기..서경덕 "中에 빌미 제공 말아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명 교육기업이 어린이용 중국어 교재에서 김치를 파오차이(泡菜)로 표기한 것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중국에 빌미만 제공하는 꼴"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대교가 제작한 어린이용 중국어 교재 '차이홍 주니어'에서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해 안타깝다며 "교육기업은 국가적 현황에 대해 더 귀를 기울여야만 한다. 왜냐하면 이런 상황은 중국에 빌미만 제공하는 꼴이 되기 때문"이라고 질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왕길환 기자 = 유명 교육기업이 어린이용 중국어 교재에서 김치를 파오차이(泡菜)로 표기한 것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중국에 빌미만 제공하는 꼴"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서 교수는 19일 소셜미디어(SNS)에서 최근 중국에서 활동하는 연예인, 유명 프랜차이즈 빵집, 식약처 등이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해 논란이 된 사실과 중국 관영 매체인 '관찰자망'이 "한국은 세계에 김치를 선전하지만, 중국에서는 파오차이만 통할 것"이라는 보도를 언급했다.
파오차이는 양배추나 고추 등을 염장한 중국 쓰촨(四川) 지역의 절임 식품으로, 중국은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한다.
그는 "중국은 지속해서 김치의 기원을 파오차이로 억지 주장을 펼치는데, 한국 내 다양한 분야에서 '파오차이' 표기가 계속 적발돼 걱정"이라며 교육기업 대교의 사례를 들었다.
대교가 제작한 어린이용 중국어 교재 '차이홍 주니어'에서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해 안타깝다며 "교육기업은 국가적 현황에 대해 더 귀를 기울여야만 한다. 왜냐하면 이런 상황은 중국에 빌미만 제공하는 꼴이 되기 때문"이라고 질타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해 7월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을 일부 개정하면서 김치의 올바른 중국어 표기를 '신치'(辛奇)로 명시했다.
서 교수는 "문체부도 다른 정부기관과 지자체, 기업, 민간부문 등에 '신치' 표기에 관한 적극적인 홍보를 더 해야 할 시점"이라며 "중국의 '김치공정'에 분노만 할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주변을 둘러보고 잘못된 표기를 고쳐나갈 수 있도록 다 함께 힘을 모아야만 할 것"이라고 말했다.
ghwang@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마트서 환자복 입은 30대 남성 흉기난동…60대 여성 사망(종합) | 연합뉴스
- 휘발유 끼얹고 분신하려 한 남성…경찰 설득에 마음 돌려 | 연합뉴스
- 특수학급 중학생이 여교사 얼굴 등 때려 강제전학 조치 | 연합뉴스
- 강남 테슬라 사이버트럭 파손 피의자는 중국인 관광객 | 연합뉴스
- 엿가락처럼 휘어버린 화순 풍력발전기…원인 규명 '미지수' | 연합뉴스
- "그렇고 그런 사이" 상관 불륜 암시한 부사관, 징역형 집유 확정 | 연합뉴스
- 수원 아파트서 숨진 모녀는 통합관리대상…건보료 등 체납 | 연합뉴스
- 결혼할 듯 속여 지적장애인 재산 가로챈 50대 2심서 형량 ↑ | 연합뉴스
- "이재명 암살단 모집"…SNS에 글 올린 30대 검거 | 연합뉴스
- 마을회관 지붕 고치다 추락 70대, 장기기증으로 3명에 새 생명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