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군사·경제 이어 기술동맹 추가될 것"

김동하 기자 2022. 5. 19. 04: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 20일 방한.. 대통령실, 일정·의제 공개
20일 삼성 반도체 공장 방문, 尹대통령과 동행.. 연설도 예정
21일 韓美 정상회담.. 오전엔 국립현충원 찾아 참배
용산 대통령실에서 90분 회담, 국립중앙박물관서 공식 만찬
北도발 대비한 플랜B도 마련

대통령실은 오는 21일 열리는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에 대해 “그간 이어진 군사 동맹, 한미 FTA(자유무역협정)를 통한 경제 동맹에 이어 이번에는 한미 기술 동맹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왼쪽)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뉴스1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한미 포괄적 전략 동맹을 동아시아와 글로벌 평화 번영에 기여하는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게 목표”라며 “합의 내용을 선언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구체적이고 실효적 이행 계획을 마련하고 실천해 나가겠다”고 했다. ‘기술 동맹’과 관련해선 “첨단 미래배터리, 친환경 녹색기술 협력, 인공지능, 양자기술, 우주개발이 글로벌 의제에 오르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했다. 반도체에 대해선 “설계는 미국이 최강 기술을 갖고 있고,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와 제조업 공정은 삼성을 포함해 우리 기업이 최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시장을 확대하면 일거리가 많아진다는 걸 양국 정상이 분명히 인식 중”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김 차장은 오는 24일 일본에서 열리는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출범 선언 정상회의에 윤 대통령이 화상으로 참석한다며 정부의 IPEF 참여 방침을 공식화했다. 김 차장은 “한국은 IPEF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고 다른 나라를 추가로 초대하며 우리 국익을 실현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 ‘IPEF가 반중(反中) 경제 연대 성격 아니냐’라는 질문엔 “중국을 배척하는 게 아니다”라며 “한·중FTA 후속 협정을 중국과 논의 중으로 공급망을 원활하게 주고받는 시장 개방까지 함께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김 차장은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 기간(20~22일) 중 북한 도발 가능성에 대해선 “주말까지 핵실험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며 “다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준비는 임박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했다. 김 차장은 “북한의 크고 작은 도발이 발생할 경우 그 성격에 따라 기존 일정을 변경하더라도 한미 정상이 즉시 한미연합방위태세 지휘통제시스템에 들어가도록 ‘플랜 비(plan B)’를 마련해 놨다”고 했다.

백악관서 아시아인·태평양계 미국인 초청 행사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 시각) 미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 가든에서 열린 아시아인·태평양계 미국인 문화유산의 달 기념 행사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사진을 찍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최근 발생한 캘리포니아 교회와 뉴욕 식료품점 총기 난사 사건을 언급하며 “증오를 어떻게 끝낼 것인지뿐만 아니라 증오를 발생시킨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에 관해서도 얘기해야 된다”고 말했다. /AFP 연합뉴스

바이든 대통령은 오는 20일 오후 한국에 도착해 2박 3일 동안 매일 윤 대통령과 공동 일정을 가질 예정이다. 첫날 바이든 대통령의 삼성반도체 공장 방문에 대해 “윤 대통령도 함께하면서 연설하고 근로자들과 환담할 계획”이라고 김 차장은 전했다.

둘째 날인 21일 바이든 대통령은 오전 국립현충원 현충탑을 참배한 후 오후 1시 30분쯤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 도착해 정상회담을 갖는다. 정상회담은 단독회담, 환담, 확대 정상회담 순으로 90분간 진행된다. 의제는 안보를 포함한 한반도 문제, 경제 안보 문제, 아시아태평양 지역 역내 협력 문제 등 크게 세 갈래다. 김 차장은 “단독회담에서 제일 먼저 짚고 넘어갈 것은 한미 간 확실하고도 실효적인 확장 억제력을 어떻게 강화할 건지 액션 플랜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양 정상은 오후 4시쯤 공동선언문 발표와 공동기자회견을 진행한다. 김 차장은 “인수위 시기부터 미국 측과 실시간 협의를 했기 때문에 한두 가지 사안 빼고 공동선언문이라든지 양쪽이 이행할 내용이 완성 단계”라고 했다. 잠시 휴식 후 오후 7시부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공식 만찬을 진행한다. 만찬에는 우리 측에서 행정부, 의회, 각계 인사 50여 명이 참석하고 미국 측에선 수행원 등 30여 명이 함께한다. 김 차장은 “열 손가락에 꼽히는 주요 기업 총수 명단이 만찬 명단에 들어 있다”고 했다.

김 차장은 바이든 대통령의 비무장지대(DMZ) 방문 여부에 대해선 “바이든 대통령이 부통령 시절 (2013년 방한 당시) 가본 적이 있다”며 “다른 장소, 다른 개념의 안보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DMZ 방문이 없을 것이라는 취지다. 대북 코로나 의약품 지원 등과 관련해선 “한미가 북한의 의료·보건 문제를 논의는 할 수 있지만, 북한의 반응 전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논의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김 차장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회담에 대해선 “바이든 대통령과 윤 대통령은 언제라도 대화는 열려 있지만, 만남을 위한 만남에는 응하지 않겠다는 점에서 일치돼 있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