얇은 허벅지는 없습니다 [삶과 문화]

2022. 5. 18. 2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튜브에서 <'뒤진다 맛 닭꼬치' 먹다 진짜 뒤질 뻔한 영국 남자>라고 쓰여 있는 썸네일을 보았다.

'뒈지다'는 동사 '죽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로 거꾸러지다, 고꾸라지다, 죽다 같은 유의어가 있다.

'얇은 허벅지'라는 말이 있다.

그러므로 '얇은 허벅지'는 틀린 말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성준 작가 제공

유튜브에서 <'뒤진다 맛 닭꼬치' 먹다 진짜 뒤질 뻔한 영국 남자>라고 쓰여 있는 썸네일을 보았다. 뒤지긴 뭘 뒤지지? 저게 맞는 말인가. 화면을 클릭해 보니 예상대로 '뒈진다'를 뒤진다로 잘못 쓴 것이고, 거기엔 '혹시 내가 잘못 쓴 건 아닐까?' 하는 일말의 의심이나 자책 따위는 없었다.

사전을 찾아보았다. '뒈지다'는 동사 '죽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로 거꾸러지다, 고꾸라지다, 죽다 같은 유의어가 있다. 어감이 몹시 안 좋긴 하지만 그래도 뒤지다로 써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뒤지다'는 무엇을 찾으려고 샅샅이 들추거나 헤치는 것, 또는 책 따위를 한 장씩 들추어 넘기거나 한 권씩 살피는 행위를 말하기 때문이다. 명백히 다른 뜻이다. 가만히 생각해 보았다. 이게 흥분할 일인가. 혹시 나는 꼰대가 아닌가. 아니다. 용기를 내자. 비록 내가 전직 카피라이터로서 이상한 유행어나 축약어를 만들어가며 밥을 벌어먹었지만 그래도 이건 아니지, 라고 약해지는 마음에 불을 지펴 칼럼을 쓰기로 했다.

'얇은 허벅지'라는 말이 있다. 얇다거나 두껍다는 말은 종이나 헝겊, 책 등 조금 납작한 물체의 두께를 말하는 표현이고, 가늘다 굵다는 국수, 통나무, 가래떡 등 긴 원통형 물체의 직경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러므로 '얇은 허벅지'는 틀린 말이다. 지금 이 시간에도 많은 여성들이 날씬한 몸매를 꿈꾸겠지만, 그들이 가져야 할 것은 얇은 허벅지가 아니라 '가는 허벅지'인 것이다. 물론 이런 것도 국어 시간에 배운 '시적 파격'에 해당되는 거 아니냐고 시비를 걸 수 있다. 그러나 그건 김소월이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라고 하거나 김건모가 '그런 난 니가 좋았어' 정도로 단어의 위치를 살짝 바꾼 경우지 이렇게 명백하게 잘못 써놓고 '요즘은 다들 그러는데 뭘'이라며 뻔뻔하게 나올 일은 아니다.

물론 언어는 변한다. 예전엔 '너무'라는 부사를 부정적인 표현에만 쓰기로 되어 있어서 '너무 예쁘다' 같은 표현은 할 수 없었다. 그런데 세월이 흐르면서 긍정문에도 너무를 쓸 수 있게 되자 나는 너무 기뻤다. 그러나 짜장면처럼 변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짜장면은 틀린 표현이라며 반드시 '자장면'이라고 써야 한다는 사회적 억압이 있을 때 나는 우연히 고속버스 휴게소 메뉴에 '자장면'과 함께 '짜장밥'이 걸려 있는 것을 보고 무릎을 쳤다. 아, 이 가게 사장님은 '짜장밥'이라는 꼼수를 통해 자장면이라는 부조리에 반항하고 있구나!

하이데거는 '언어는 존재의 집'이라고 했다. 우리가 하는 모든 사고와 행동은 언어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잘못된 말은 말에서 그치지 않고 잘못된 생각으로 발전한다. 동물 관련 방송 프로그램에서 '누가 민중을 개 돼지라고 했나'라는 자막에 깜짝 놀란 적이 있다. 틀린 문장은 아니지만 그건 이전의 교육부 정책기획관이 사석에서 '신분제가 다시 생겼으면 좋겠다'며 민중을 깔아뭉개는 의미로 사용했던 문장이기 때문이다. 맥락을 조금이라도 안다면 도저히 쓸 수 없는 자막이다. 서산 대사는 '눈길 함부로 걷지 마라, 내가 남긴 발자국은 누군가의 이정표가 될지니'라고 했다. 일단 방송국 다니는 분들은 자막부터 옳게 쓰도록 노력하자. 방송에 나오는 건 뭐든 다 옳다고 믿는 세상이니 "고객님, 커피 나오셨습니다" 같은 비문이 아직도 커피숍을 날아다니고 있는 거 아닌가.

편성준 작가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