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5조4천억 부산스마트시티 따냈다

나현준 2022. 5. 18. 17: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에코델타 스마트사업 수주
여의도 면적에 3800세대 입주
국내 최대 스마트시티 사업
IoT AI 신기술 모두 적용
신한銀·윈스 등 12개사 참여
부산광역시 서쪽 '부산 에코델타시티'에 위례신도시급(인구 8만~10만명) 신도시가 들어선다. 그 핵심 노른자 땅에 짓는 '에코델타 스마트시티'(인구 8500명)를 구축할 우선협상대상자로 LG CNS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약 1년 반 동안 우선협상자 선정과 철회 등의 과정을 거쳤던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사업이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된 것이다.

18일 LG CNS는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구축·운영사업 우선협상대상자(우협)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스마트시티는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정보기술(IT)이 집적된 도시다. 앱 하나로 버스·지하철·택시는 물론 자율주행 셔틀·공유차·주차장 등 교통수단을 통합 예약하고 결제하는 서비스(MaaS)를 받을 수 있다. 자율주행 배송로봇과 조리·서빙로봇처럼 다양한 로봇 서비스도 제공된다. AI 기술을 탑재한 스마트 쓰레기 처리기도 주거 단지에 배치돼 재활용 자원을 선별한다. 거주자는 헬스케어 기기로 질병을 조기에 진단하며 지역 의료기관과 연계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도 받는다.

이번에 우협으로 선정되며 LG CNS 컨소시엄은 국가시범도시 2곳(세종·부산)을 모두 가져가게 됐다.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사업 시행자인 한국수자원공사 관계자는 "향후 협상이 잘되면 올해 하반기 SPC(특수목적법인)를 만들게 될 것"이라며 "부산시 수자원공사를 비롯한 공공부문이 20%를 가져가고, 나머지 80%는 LG CNS를 비롯한 민간 기업이 가져가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총사업비는 5조4000억원 규모다. 부산 에코델타시티(11.7㎢·약 360만평) 중 23% 정도에 해당되는 약 84만평(여의도 면적과 비슷)에 스마트시티를 구축한다. 국비는 약 700억원만 지원되고 대부분은 민간에서 재원을 조달한다. 스마트시티에 계획된 아파트·오피스텔(3800가구·8500명)과 상가 분양으로 절반 이상을 채울 전망이다. 현재 스마트시티 구역이 아닌 부산 에코델타시티는 전용 85㎡(약 34평) 기준으로 5억원대 초반에 아파트가 분양되고 있는데, IoT 등 최첨단 기능이 탑재된 것을 감안해 평균 분양가 6억원에 3800가구를 모두 분양한다고 가정하면 주택 부문에서만 약 2조원을 조달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상가 분양도 재원 조달 수단이다. 업계 관계자는 "스마트시티 취지에 맞게 자율주행차량 공유 서비스도 선보일 수 있다"며 "이 밖에도 향후 법 개정 시 데이터 판매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공고를 통해 LG CNS 컨소시엄은 구축 5년, 운영 10년을 포함한 총 15년을 보장받았다.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사업엔 LG CNS를 비롯해 신한은행(미래 금융), 코리아DRD(부동산 개발), 윈스(사이버 보안), 이에이트(디지털 트윈), 헬스커넥트(스마트 헬스케어) 등 총 12개 사업자가 참석했다.

윤석열정부가 금융 마이데이터 사업을 '전 분야' 마이데이터 사업으로 확장할 계획이어서 이번 수주는 LG CNS가 향후 '종합 마이데이터 사업'으로 발돋움하는 발판이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다만 막판에 협상이 결렬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는 지난해 2차례(한화에너지 주관 더그랜드 컨소시엄, 한국수력원자력·LG CNS 컨소시엄) 협상이 결렬된 바 있다. 사업계획 수립 과정에서 컨소시엄 내 회사 간 이견이 있었기 때문이다. 처음 우협 선정 과정 때는 민간에서 제안한 금액이 3조6000억원이었는데, 이번에는 제안 금액이 5조4000억원으로 늘어난 것도 부담 요소다. 그만큼 수익 모델을 더 발굴해야 하는데, 스마트시티의 수익성이 얼마나 될지 아직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나현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