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기록 생물종 발견 늘었지만 생물다양성은 줄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 자연환경을 조사한 결과 그동안 한반도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동식물 발견도 있었지만 생물다양성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조도순 국립생태원장은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통해 한반도 생물종 현황 및 생물상 분포를 더 정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번에 발견된 미기록종과 자생지는 국내 식물분야 학술지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등록돼 자생식물로 공식 인정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 자생종으로 알려진 둔치개밀, 전남 화순서 처음 발견
국제 멸종위기종 붉은해오라기도 충남 서해안, 제주서 확인
전국 자연환경을 조사한 결과 그동안 한반도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동식물 발견도 있었지만 생물다양성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국립생태원은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 3차년도’ 조사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전국자연환경조사는 국가 자연환경 보전정책 수립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전국 단위로 생물다양성 정보와 생태계 현황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지난해 실시된 3차년도 조사는 강원 강릉, 경남 거제, 제주 등을 중심으로 수행됐다.
조사 결과 식물 189과(科) 2099종(種), 동물 572과 5230종을 확인했다. 이는 강원 인제, 경북 예천, 전북 고창 등을 중심으로 조사한 2차년도(2020년) 조사에서 확인된 7627종보다 줄어든 수치이다.
생태원에 따르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17종, Ⅱ급 81종의 서식이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은 식물 2종(암매, 풍란), 동물 15종(황새, 저어새, 산양, 비바리뱀 등)이 발견됐으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은 가시연, 솔잎난, 복주머니란 등 식물 27종과 애기뿔소똥구리, 하늘다람쥐, 담비, 금개구리, 물방개 등 동물 54종의 서식이 확인됐다.
이번 조사에서 그동안 국내 서식 기록이 없던 둔치개밀이 전남 화순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둔치개밀은 전 세계에서 일본에서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습한 물가 주변에서 자라는 특징을 가진 둔치개밀은 건조한 환경에서 자라는 밀의 품종개량을 위한 유전자원으로 가치가 높다고 인정받고 있다.
또 1949년 한국 식물명감에는 기록돼있지만 찾지 못했던 개방동사니, 1952년 한국 식물상 개요에 기록되고 지금까지 발견된 바 없던 잔나비나물도 이번에 발견됐다. 개방동사니는 제주도 일대에서, 전나비나물은 전북 완주, 경남 고성 일대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 세계적으로 1000~2500 마리만 생존해 있어 국제 멸종위기종인 붉은해오라기도 충남 서해안 2곳과 제주도 2곳에서 발견됐다. 붉은해오라기는 조심성 많은 야행성 조류로 발견이 쉽지 않아 무인감지카메라를 통해 관찰에 성공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올해 12월 국립생태원 누리집(www.nie.re.kr)에 공개된다.
조도순 국립생태원장은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통해 한반도 생물종 현황 및 생물상 분포를 더 정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번에 발견된 미기록종과 자생지는 국내 식물분야 학술지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등록돼 자생식물로 공식 인정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조 원장은 “미기록종과 자생지 발견은 국가 생물주권을 확보한다는 의미가 크고 국내 유전자원과 생물다양성 보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유용하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