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조 부산 스마트시티 사업, LG CNS가 따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LG CNS가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구축·운영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LG CNS가 이 사업을 총괄하며, 인공지능(AI)·데이터 기반 스마트 서비스 구축과 운영을 담당한다.
LG CNS는 지난해 3조2000억원 규모의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구축 사업을 수주하는 등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일찌감치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4년 전 도시 운영 데이터를 모아 분석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구축 플랫폼 '시티허브'도 출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의도 면적' 강서구 부지에 스마트 도시 구현
사업 기간 15년..LG CNS, AI 기반 스마트 서비스 운영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LG CNS가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구축·운영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세종에 이어 부산 스마트시티 사업까지 연이은 수주다.
이 사업은 국토교통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발주한 국내 최대 규모 스마트시티 사업이다. 총 사업 규모는 5조4000억원에 이르며, 사업 기간은 구축(5년), 운영(10년)을 합해 총 15년이다. 여의도 면적과 비슷한 84만평 규모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내 부지에 상업·업무·주거·문화 시설 등을 구축하며 첨단 IT를 적용해 똑똑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이 골자다.
앞서 LG CNS는 이번 사업을 위해 신한은행, 현대건설, 한양, SK에코플랜트, LG헬로비전, 휴맥스 모빌리티 등 12개사로 ‘더 인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LG CNS가 이 사업을 총괄하며, 인공지능(AI)·데이터 기반 스마트 서비스 구축과 운영을 담당한다.
예컨대 AI 기반 이용자 패턴 분석으로 버스·지하철·택시·자율주행·셔틀·공유차·전기차 충전·주차장 등을 운영하며, 사용자가 앱 하나로 모든 교통 수단을 예약하고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형 모빌리티(MaaS)’를 구현한다. 자율주행 배송 로봇 등 다양한 로봇 서비스도 제공한다. 시민들이 착용하는 헬스케어 기기로 개인의 건강 데이터를 수집해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LG CNS는 지난해 3조2000억원 규모의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구축 사업을 수주하는 등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일찌감치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4년 전 도시 운영 데이터를 모아 분석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구축 플랫폼 ‘시티허브’도 출시했다. 이 플랫폼은 국내 기업 최초로 국토교통부의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김영섭 LG CNS 대표는 “LG CNS의 디지털 전환 기술력을 바탕으로 도시에서 발생하는 민간·공공 데이터를 융합해 데이터로 함께 숨쉬고 성장하며 시민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혁신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를 구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국배 (vermeer@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문 전 대통령 “멀리서 옷깃 여민다”… 5·18 추모
- "세게도 박았네"…김새론 음주운전 현장, 어땠길래?
- 백발 되어 떠나는 '코로나 전사' 정은경…하태경 "시대의 영웅"
- "닭모이 됐을 수도"…尹 저격한 박지현에 허은아 "살해협박 테러"
- 다 오르는데 한우 가격 나홀로 하락...왜?
- '이임식서 눈물' 정은경, "유행 진행 중 떠나는 마음 무겁다"
- 박범계, 현 정부 비판…"尹대통령과 가까운 검사들, 文정부 부정"
- "쾌차하시길" 송해 '노래자랑' 하차 소식에 누리꾼 응원물결
- "반지성은 이런 것"…文 겨냥한 정유라가 직접 올린 사진은
- "레벨업 하면 월급 오른다"…티몬의 파격 인사제도,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