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만 사는 줄 알았는데..둔치개밀 국내 자생 첫 확인
[경향신문]
전세계적으로 일본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던 벼과 식물인 둔치개밀이 국내에서도 발견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18일 지난해 강릉, 거제, 제주 등을 중심으로 실시한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조사 결과 189과 2099종의 식물, 572과 5230종의 동물 등 총 7329종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1년 전 인제, 예천, 고창 등에서 실시된 자연환경조사에서 확인된 7627종보다는 약간 줄어들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그동안 국내 서식 사실이 알려지지 않았거나 오랫동안 발견되지 않았던 종들이 여럿 발견됐다.
벼과 식물인 둔치개밀은 그동안 일본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번 조사를 통해 전남 화순에 200여 개체가 자생하고 있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40~80㎝까지 자라는 이 식물은 강가 주변 둔치와 습지 등에 서식한다.
과거 기록에는 있지만 50년 이상 관찰되지 않아 국내 자생여부가 불분명했던 개방동사니, 잔나비나물의 자생지도 발견됐다. 사초과 식물인 개방동사니는 1949년 박만규의 ‘한국 식물명감’에, 콩과 식물인 잔나비나물은 1952년 나카이의 ‘한국 식물상 개요’에 최초 기록됐지만 그 이후 한 번도 발견되지 않았다. 개방동사니는 제주도 일대에서, 잔나비나물은 전북 완주와 경남 고성 일대에서 자생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국립생태원은 “이번 조사를 통해 발견된 미기록종 및 자생지는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등록돼 자생생물로 공식 인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은 1급 17종, 2급 81종 등 총 98종이 확인됐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은 식물 2종(암매와 풍란), 동물 15종(황새, 저어새, 산양, 비바리뱀 등)이 살고 있었다. 2급 야생생물은 식물 27종, 동물 54종의 서식이 확인됐다.
이 중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이자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붉은해오라기도 이번 조사에서 남해안과 제주도에서 관찰됐다. 붉은해오라기는 조심성이 매우 많은 야행성 조류로, 전세계에 1000~2500여 개체만 생존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개방된 지역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거의 없어 국내 자료도 많지 않은 편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서해안 2곳, 제주도 2곳 등 총 4곳에서 관찰됐다.
이번 조사 결과의 전체 내용은 올해 12월 국립생태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된다.
김한솔 기자 hansol@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강선우 전 보좌진 “재취업 방해는 사실···청문회 보며 현타”
- [속보]서울구치소 “윤석열 강제구인 집행 위해 검사 보내달라” 특검팀에 요청
- 김종인, 특사 불가론에 “대통령실서 먼저 얘기···미국 안 가면 그만”
- 학원 원장님의 몹쓸 기억력…제자 집 비밀번호 외워서 절도 ‘실형’
- “부탁 들어주면 1만원 줄게” 초등생 유인한 70대 검찰 송치
- [점선면]트럼프도 긴장했다···미국 정치 뒤집어놓은 33세 진보 무슬림 청년
- “트럼프, 젤렌스키에 ‘모스크바 칠 수 있나’ 물어”···젤렌스키 “물론, 무기만 준다면”
- [윤지호의 투자, 함께 고민하시죠]‘욕망의 상징자본’ 강남아파트 대신 주식으로 넘어오면 ‘
- 시험지 빼내려고 학교 침입한 학부모 구속…학생은 전 학년 0점 처리
- 김성태 “국힘, 뼈 가루내야 하는데 왁싱도 못해···어떻게 윤석열 지키잔 말이 나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