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원자재값 급등에 4월 무역수지 흑자규모도 '뚝'

광주=이재호 기자 2022. 5. 18. 10: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4월 광주·전남 수출은 반도체·석유화학 등의 선전으로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에너지 가격 급등 등으로 인해 수입액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크게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무역협회 광주전남지역본부가 제공한 '2022년 4월 광주전남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광주·전남 수출은 48억1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6.1%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광주·전남 수출은 반도체·석유화학 등의 선전으로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에너지 가격 급등 등으로 인해 수입액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크게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 광양항 전경/사진=머니S DB.

지난 4월 광주·전남 수출은 반도체·석유화학 등의 선전으로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에너지 가격 급등 등으로 인해 수입액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크게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무역협회 광주전남지역본부가 제공한 '2022년 4월 광주전남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광주·전남 수출은 48억1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6.1% 증가했다. 이는 전년 같은 달 수출이 88.9% 증가하는데 따른 역기저효과로 분석됐다.

광주·전남 수출 증가율은 2021년 12월 전년대비 47.9% ▲지난 1월 22.5%▲2월 28.9%▲3월22.0%▲4월 6.1%로 증가세는 주춤거렸다.

그러나 수입은 44억6000만달러로 전년대비 32.7% 증가했다.

전세계적인 에너지 및 원자재 가격 급등과 수출 증가에 따른 원부자재 수요 증가로 광주(26.1%)와 전남(34.4%) 모두 수입이 크게 증가했다. 국제유가는 지난해 12월 배럴당 73.21달러에서 ▲지난 1월 83.47달러▲2월92.36달러▲3월 110.93달러로 상승한 뒤 4월 102.82달러를 기록했다. 이처럼 수출액보다 수입액이 크게 늘면서 무역수지는 3억5000만달러로 전년대비 8억3000만달러가 축소됐다.

지역별로 광주 수출은 15억8000만달러로 전년대비 5.0% 증가했고, 수입은 8억5000만달러로 전년대비 26.1% 증가해 무역수지는 7억3000만달러 흑자를 보였다.

수출은 지난해 4월 수출 급증에 따른 역기저효과, 자동차/부품(-24.7%) 및 냉장고(-9.4%) 수출 부진 등으로 한 자릿수 증가율에 그쳤으나 반도체(69.9%) 수출이 견조한 흐름을 보이면서 최근 수출액은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갔다.

반도체는 D램가격 강세 유지, 데이터 센터 투자 확대 등 전반적인 반도체 업황 호조로 후공정 수요가 확대되며 전년대비 69.9% 증가한 6억 달러 기록했으나 자동차 및 부품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 지속,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영향으로 자동차 및 부품 수출은 각각 전년동기비 24.7%, 32.4% 감소했다.

수입은 수출 증가에 따른 중간재 및 자본재 수입 확대로 광주의 수입액은 연초부터 4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가별 수출은.자동차 등 수출 부진으로 미국은 3개월 연속 30% 이상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싱가포르(95.4%), 대만(146.3%) 등은 호조세가 지속됐다.

특히 자동차 및 부품 등 수출로 러시아는 광주의 주요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했으나 전쟁 장기화로 3월부터 수출이 대폭 감소하며 3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전남 지난4월 수출은 32억3000만달러로 전년동기비 6.6% 증가했고, 수입은 36억1000만달러로 전년대비 34.4% 증가해 무역수지는 3억9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무역수지 적자는 5개월만이다.

수출은 중국 봉쇄 등 영향으로 철강판(-53.8%) 수출은 부진한 가운데 고유가 흐름이 지속되며 석유제품(86.6%) 및 석유화학제품은 호조세를 보였다.

그러나,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1차 산품 수입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화물선 수입 영향으로 자본재 수입이 전년동기비 2배 이상 증가했다.

국가별 수출은 중국 상하이 봉쇄 등 영향으로 중국 수출은 20% 이상 감소했으나 ▲미국(52.9%)▲필리핀(262.8%)▲호주(703.9%)▲싱가포(164.7%)등으로의 수출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4월 광주·전남 수출입동향은 무역협회 광주전남 홈페이지 지역별 무역동향 메뉴에서도 찾아볼 수있다.

[머니S 주요뉴스]
"작정하고 죽이려"… 이하늘, 뱃사공 논란 언급?
송해나 "김종민과 러브라인"… 핑크빛 진실은?
"데이트 급 낮아졌다"… '김지민♥김준호' 실화?
"뭘 자꾸 벗어!"… 몸자랑 나선 비에 성동일 '질색'
김원희 "홍현희 실물 美쳤어"… 임산부 맞아?
"XX 될 것 같다"… 김승현 부모, 이혼 위기?
"빚쟁이라면서?"… 이상민, 박군 축의금 300만원 '전말'
"5성급 호텔 뺨치네"… 이정현, 초호화 조리원 근황
"피 많이 나"… 강형욱 역대급 입질견에 병원行?
"이젠 네가 전부"… 손담비, ♥이규혁에 오열

광주=이재호 기자 jaeho5259@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