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ong awaited return of chanting (KOR)

2022. 5. 18. 09: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However, jechang is now mostly used when singing the national anthem or "The March for the Beloved" at official events. The definition of chanting searched in the news archive can be found from the interview with singer Lee Jeong-son in the Munhwa Ilbo on May 12, 1992. "I firmly refuse the events if I am invited with many other singers, and we appear as if it is a flash fashion show or we have to chant in unison."

이달 초 열린 가수 싸이의 성균관대 축제 공연 영상이 화제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inger PSY's performance at Sungkyunkwan University festival earlier this month became a viral video. As if venting out the pains of social distancing measures..

KIM KYUNG-HEE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Innovation Lab of the JoongAng Ilbo.

Singer PSY’s performance at Sungkyunkwan University festival earlier this month became a viral video. As if venting out the pains of social distancing measures that lasted for so long, the audience sang and danced together.

The spectacle was made possible as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measures and the ban on chanting were lifted after two years from March 2020.

Chanting is the act of singing along loudly. It has the same meaning as “jechang,” or chorus, in the dictionary.

However, jechang is now mostly used when singing the national anthem or “The March for the Beloved” at official events. The definition of chanting searched in the news archive can be found from the interview with singer Lee Jeong-son in the Munhwa Ilbo on May 12, 1992. “I firmly refuse the events if I am invited with many other singers, and we appear as if it is a flash fashion show or we have to chant in unison.”

It was around the late 2000s that “chanting” appears in the media in the meaning that we use today — audiences singing along — when Pentaport Rock Festival and other events started.

Until the early 2000s, Korea was not a place with enough ticket power to hold a rock festival and pay many foreign musicians. Avid music fans would spend much more for airfares and accommodation to visit music festivals abroad, such as in Japan. So fans were thrilled to attend rock festivals where they can see performances by foreign musicians on multiple stages. Korean audiences responded with extraordinary group chanting.

In the Covid-19 era, pop concerts had been banned while classical performances and musicals were allowed. Because of the group chanting, the virus may spread via droplets. When the performance industry protested, the disease control authorities allowed events with a of maximum 4,000 people and prohibiting group singing in June 2021.

However, only a month later, indoor and outdoor events in venues other than registered concert halls in non-capital regions had to be banned due to a resurgence in Covid cases. It practically banned pop concerts held in stadiums and arenas. On the day that singer Na Hoon-a’s Busan concert was canceled, the new confirmed cases nationwide were 1,838. Na Hoon-ah’s national tour has now resumed. The chanting has returned. Now I can breathe a little.

떼창이경희 이노베이션랩장

이달 초 열린 가수 싸이의 성균관대 축제 공연 영상이 화제다. 오랜 거리두기의 한을 토해내듯, 관객들이 지축을 울리며 '떼창'을 하는 모습이 장관이다. 2020년 3월 이후 2년여 만에 코로나19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되고 떼창 금지 조치가 사라지면서 가능해진 풍경이다.

떼창은 관객들이 큰소리로 노래를 따라부르는 행위를 가리킨다. 한 성부를 다 같이 부르는 ‘제창(齊唱)’과 사전적 의미는 같다. 그러나 제창은 이제 애국가 제창,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등 공식 행사에서 쓰이는 용어가 된 듯하다. 빅카인즈 기사 아카이브에서 검색되는 가장 오래된 떼창의 정의는 1992년 5월 12일자 문화일보의 가수 이정선 인터뷰에서 찾을 수 있다. “가수들을 여럿 불러놓고 화려한 패션쇼를 방불케 한다든지 떼창(가수들이 합창하는 것을 이렇게 표현했다)을 시키는 곳에는 단호하게 출연 거부합니다.”

지금처럼 청중이 떼 지어 함께 부른다는 뜻으로 언론에 등장한 건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등이 본격적으로 열리기 시작한 2000년대 후반쯤이다. 2000년대 초반까지도 한국은 여러 해외 뮤지션의 개런티를 감당해 록 페스티벌을 열 만큼 티켓 파워가 센 나라가 아니었다. 골수 음악팬들은 항공·숙박료까지 들여 일본 등 해외 페스티벌을 찾아가야 했다. 그러다 기라성같은 해외 뮤지션의 공연을 무대만 조금씩 옮겨가며 모두 볼 수 있는 록 페스티벌이 내 나라에서 열리니 감격스러울 수밖에…. 한국 관객은 유난스러운 떼창으로 화답했다.

코로나 시대, 클래식·뮤지컬이 올라가는 동안에도 대중음악 공연은 금지됐다. 떼창 때문에 침방울이 튀어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였다. 공연 업계의 원성이 커지자 방역 당국은 지난해 6월 4000명 이내, 떼창 금지 등의 조건을 달고 허가해줬다. 그러나 한 달여 만에 코로나 재확산을 이유로 비수도권의 등록 공연장 이외의 장소에서 개최되는 실내외 공연을 도로 금지했다. 주로 경기장 등에서 이뤄지는 대중음악 콘서트를 금지한 것과 다름없었다. 가수 나훈아의 부산 콘서트가 자동으로 취소된 그 날, 전국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1838명이었다. 나훈아 전국 투어가 재개됐다. 떼창이 돌아왔다. 이제 좀 숨통이 트인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