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석봉 글씨 '의열사기'·3.7m '대안문'..궁중현판 81점 한곳에

박상현 2022. 5. 18. 0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시대와 대한제국 시기 곳곳에 걸렸던 현판 81점이 한자리에서 공개된다.

지금은 덕수궁 정문에 '대한문'(大漢門) 현판이 걸려 있지만, 과거에는 대안문이라고 했다.

조선시대 현판은 각자장과 단청장 등이 만들었고, 글씨는 당대 명필뿐만 아니라 내시 등 다양한 사람이 썼다.

현판과 실물 자료 외에도 의궤에 나오는 그림 '홍화문사미도'(弘化門賜米圖)와 문헌 기록을 바탕으로 만든 만화 영상, 현판 이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고궁박물관, 8월 15일까지 특별전..국보 '기사계첩'도 공개
다양한 궁중 현판들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조선시대와 대한제국 시기 곳곳에 걸렸던 현판 81점이 한자리에서 공개된다. 현판(懸板)은 글자나 그림을 새겨 문이나 벽에 다는 널조각이다.

국립고궁박물관은 2018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에 등재된 조선왕조 궁중 현판과 국보 '기사계첩', 각자장(刻字匠) 작업 도구 등 자료 100여 점을 선보이는 특별전 '조선의 이상을 걸다, 궁중 현판'을 19일부터 연다고 18일 밝혔다.

조선왕실 현판을 꾸준히 연구해 온 국립고궁박물관이 현판 제작 과정과 현판에 담긴 글씨를 집중적으로 다룬 전시다.

출품 현판 중에는 프롤로그 공간에 놓인 '대안문'(大安門) 현판이 가장 크다. 가로 374㎝, 세로 124㎝이다.

지금은 덕수궁 정문에 '대한문'(大漢門) 현판이 걸려 있지만, 과거에는 대안문이라고 했다. 격동하는 근대사 속에서 나라가 크게 평안하기를 바라며 지은 명칭으로 알려졌다.

현판 제작 기법과 장인을 조명하는 1부 '만들다'에서는 명필 석봉 한호(1543∼1605) 글씨를 바탕으로 1582년 제작한 '의열사기'(義烈祠記) 현판을 볼 수 있다.

의열사기 현판은 가로 150㎝, 세로 36㎝이다. 백제 의자왕과 고려 공민왕 시기 충신을 모시기 위해 세운 충남 부여 의열사 내력을 새겼다. 글을 지은 사람은 서애 류성룡이다.

조선시대 현판은 각자장과 단청장 등이 만들었고, 글씨는 당대 명필뿐만 아니라 내시 등 다양한 사람이 썼다. 창덕궁 대은원(戴恩院) 중수 내용을 새긴 현판이 내관이 쓴 대표적 유물이다.

대안문(위쪽)과 의열사기 현판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부 '담다'는 현판 내용을 성군(聖君)의 도리, 백성을 위한 마음, 신하와의 어울림, 효(孝) 등 왕도 정치 이념이 투영된 네 가지 주제어로 살핀다.

이어 3부 '걸다'는 다양한 기능의 현판을 벽면에 걸어 관람객이 압도되는 느낌을 받도록 연출했다. 왕이 신하에게 내린 명령과 지침, 관청 업무 정보와 규칙, 국가 행사 날짜를 새긴 현판을 비롯해 왕이 개인적 경험과 느낌을 읊은 시를 적은 현판 등으로 꾸몄다.

국립고궁박물관 관계자는 "조선왕실은 현판을 게시판이나 공문서 같은 소통 도구로 활용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현판과 실물 자료 외에도 의궤에 나오는 그림 '홍화문사미도'(弘化門賜米圖)와 문헌 기록을 바탕으로 만든 만화 영상, 현판 이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창덕궁과 창경궁 건물 배치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동궐도'를 배경으로 현판 글씨를 써 보는 체험도 할 수 있다.

전시는 8월 15일까지 이어진다. 한국문화재재단은 전시와 연계한 문화상품 4종을 만들어 판매한다.

연못을 보며 지은 시를 새긴 현판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sh59@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