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紙, 물의 도시를 예술로 되살리다

베네치아/정상혁 기자 2022. 5. 18. 03: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한지 작가’ 전광영 이탈리아 대규모 개인전]
‘심장’ ‘별’ 등 대형 작품 40점 공개
공간부터 기획자까지 韓·伊 합작
“친환경 소재로 인류 재앙 고찰”
무수한 한지 조각이 이뤄낸 거대한 ‘심장’이 15세기 고택의 어둠 속에서 뛰고 있다. 관람객 너머로 붉은 ‘별’이 보인다. /정상혁 기자

한지(韓紙)가 예술의 복판을 차지했다.

지금 미술로 가장 뜨거운 도시, 이탈리아 베네치아 르네상스 고택(Palazzo Contarini Polignac)은 종이로 가득 차 있다. ‘한지 작가’로 유명한 전광영(78)씨의 부조 및 설치 작품 40점을 선보이는 비엔날레 공식 병행 전시가 열리고 있기 때문이다. 전씨는 고서(古書)를 활용한 한지 조각 ‘집합’ 연작으로 세계적 명성을 일군 한국 미술의 대표 주자다. 그가 선보이는 한국적 독창성과 함께, 한지라는 소재의 생태학적 메시지로 인해 꼭 들러야 할 장소로 평가받으며 이 전시는 미술계의 지대한 관심을 얻고 있다.

전시의 가장 큰 특징은 작품(한국)과 공간(서양)의 적극적 융화다. 전시장은 15세기 중반 건축된 르네상스 양식의 3층짜리 고택으로, 프랑스 화가 모네가 두 차례나 그림으로 남겼을 정도로 유서 깊은 공간이다. 인위적인 구조물을 배제하고 장소와의 자연스러운 결합을 유도했다. 그 예로 옛 주인이 피아노를 치던 침실에 전씨의 대표작 ‘심장’이 뛰고 있다. 3m 너비 심장 형태의 대형 한지 조각 너머로 죽어가는 사람의 실제 심박 소리가 울려 퍼지는데, 이 소리가 방에 놓인 오래된 피아노로 인해 자연의 음율처럼 느껴진다. 연결되는 안쪽 방에 원형의 붉은 한지 부조 작품 ‘별’이 있다. 어둠 속에서 그것은 부활하듯 빛나고 있다.

기이한 버섯 형태로 제작된 한지 설치작품이 환경 오염으로 야기된 생태 문제를 은유한다. 너머로 전광영의 전매특허 한지 부조 작품이 벽면에 걸려있다. /정상혁 기자
고택 서재에 거대 구(球) 형태의 한지 설치작품이 놓여있다. 이용우 큐레이터는 "전광영이 소재로 쓰는 종이는 책을 해체한 것"이라며 "책은 지식과 정보의 상징이기에 서재에 배치했다"고 말했다. /CKY스튜디오
이탈리아 건축가 스테파노 보에리가 전시장(우측) 옆에 세운 ‘한지의 집’. 접어서 옮길 수 있는 건축물이다. /ⓒAlice Clancy

한지는 숨 쉬는 종이이고, 그 환경친화적 내구성으로 인해 자체로 ‘생명’의 강력한 상징이다. 전시장에는 4m 높이까지 웃자란 버섯 조각 등이 도시 오염을 은유하며 솟아있는데, 이것이 나무와 숲을 포괄한 한지의 속성을 통해 치유의 가능성으로 치환된다. 기후 변화로 수몰 위기까지 겪는 ‘물의 도시’에서, 500년 된 낡은 집에서, 1000년 가는 종이가 예술의 형태로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다. 전시는 한국(이용우)과 이탈리아(마누엘라 루카 다치오) 큐레이터가 공동으로 꾸렸다. 건축계 노벨상을 수여하는 프리츠커재단 수석 디렉터 마누엘라는 “작품과 건물과 도시가 하나로 연결되게끔 신경 썼다”고 말했고, 비엔날레 공식 병행 전시만 세 차례 기획한 이용우 큐레이터는 “인류가 직면한 재앙을 예술이 어떻게 감당할 수 있을지 고찰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전시 콘셉트에 맞게, 사용된 모든 자재는 100% 재활용된다. 플라스틱이나 못·접착제도 쓰지 않았다. 일종의 환경 실험인 셈이다.

그 연유로 이탈리아 유명 건축가 스테파노 보에리(66)가 전광영의 한지 작품에서 영감받은 건축물 ‘한지의 집’(Hanji House)은 현지에서도 특별한 관심을 끌고 있다. 보에리는 빌딩 발코니마다 나무 숲을 채워 넣는 일명 ‘수직 숲’으로 유명한 건축가다. 삼각 뿔 형태의 흰 외벽은 한지 염색처럼 자연광에 따라 표면의 빛깔을 달리하는데, 전시가 끝나도 종이접기 하듯 건물을 접어 다른 곳으로 옮길 수 있도록 설계했다. 보에리는 “전광영과 나는 하나의 주제(자연)에 집착한다는 점에서 일심동체”라고 말했다. 11월 27일까지.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