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칼럼] 부산시, 해양치유산업 활성화 적극 나서야

목진용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명예연구위원 2022. 5. 18. 03: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제에 따른 일상회복을 맞아 각 지자체는 그동안 억눌렸던 관광수요 증가에 대응해 침체된 관광산업의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의 ‘2022년 국내 관광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시기 국내 관광 트렌드는 ‘해빗-어스(HABIT-US)’로, ‘개별화·다양화(Hashtags)’ ‘나를 위로하고 치유하는(Therapy)’ ‘일상이 된 비일상(Usual Unusual)’ ‘나의 특별한 순간(Special me)’ 등 7개 키워드의 영어 첫자를 요약한 것이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일상에 큰 변화가 닥치면서 생긴 우울감이나 무력감을 의미하는 신조어 ‘코로나 블루’가 등장했다. 이에 따라 자연 속에서 심리적 안정을 취하고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이 각광을 받았다. 개방된 공간에 대한 선호와 맞물려 바닷가를 찾는 국민이 늘어나면서 해양자원을 활용한 ‘해양치유’도 새로운 휴양문화로 급부상했다. 해양치유는 모래 갯벌 소금 해양심층수 해조류 해양경관 해양기후 등 해양치유 자원을 활용해 체질 개선, 면역력 향상, 항노화 등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이다.

정부는 해양치유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해 왔다. 2020년 ‘해양치유 자원의 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2021년에는 ‘제1차 해양치유 자원의 관리 및 활용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제1차 기본계획은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형 해양치유 모델(K-Marine Healing) 창출’이라는 비전 아래 해양치유 자원 검증을 통한 신뢰도 확보, 산업기반 구축을 통한 연안지역 성장, 해양치유를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을 3대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사계절 해양치유 콘텐츠 발굴, 해양치유서비스 인프라 조성, 해양치유산업 생태계 구축 등 3대 추진 전략을 마련했다.

코로나19 팬데믹에서 벗어나 일상회복으로 돌아선 이후에도 ‘나를 위로하고 치유’하는 여행은 여전히 중요한 관광 트렌드다. 이에 따라 해양을 가진 지자체는 해양치유를 관광과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전남 완도군은 해양치유 메카로 자처하며 6개 팀 22명으로 구성된 해양치유담당관을 운영 중이다. 해양치유 체험 프로그램과 함께 지역주민의 건강 증진을 위해 ‘읍면 찾아가는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양치유센터를 중심으로 해양기후치유센터 해양치유체험센터 해양치유공원 등 다양한 해양치유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충남 태안군 역시 금년 3월 해양치유센터 착공과 더불어 지역 해양치유 자원에 대한 임상연구를 수행했고, 효능이 입증된 해양치유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부산시도 정부의 해양치유 정책 추진에 발맞추어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금년에는 기존 노르딕워킹, 선셋 필라테스 외에 싱잉볼 명상과 요가 프로그램을 추가하고, 운영 공간도 부산지역 전체 해수욕장으로 확대했다.

다만 부산시의 해양치유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우선 해양치유 프로그램은 해양관광 콘텐츠뿐만 아니라 시민 건강증진 프로그램이라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오래전부터 해양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하게 치유활동을 진행해 온 독일과 프랑스 등 유럽은 치유 프로그램을 지역 주민의 건강증진 등 복지 수단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선 시설 및 공간 조성이 필요하다. ‘제1차 기본계획’에 포함된 해양치유지구와 해양치유마을 유치에 적극 나서고, 부산의 대표적인 관광자원인 해수욕장에 해양치유구역을 설치해 치유공간으로 탈바꿈할 필요도 있다. 부산시의 해양치유 프로그램은 부산시 주도로 개발·운영되고 있다. 지역의 대학과 민간단체, 지역 병원 등과 협력하는 민간주도 또는 민관협력 방식으로의 전환도 필요하다.

부산이 보유한 다양한 해양치유 자원을 활용하는 치유 프로그램이 개발돼 해양치유 관광객 유치뿐만 아니라 시민 건강증진에도 큰 효과를 얻기를 기대해 본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