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가루 대란이 인도 탓?..밀 생산량 2위 인도는 왜 수출 금지했나 [뉴스+]

구현모 입력 2022. 5. 17. 2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되면서 '밀가루' 대란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국내에서도 인도의 밀 수출 중단 조치가 국내 밀 공급에도 차질을 빚을 가능성에 대해 걱정하는 목소리가 크다.

최근 이집트는 인도산 밀을 수입하기로 했다며 인도 당국과 밀 수출 금지령 예외 적용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도 밀 생산량 세계 2위지만 대부분 자국 소비
최고 기온 47도 넘는 최악 폭염으로 수확량 급감
중동 관리 위해 이집트에만 밀 수출 예외 가능성
사진=AP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되면서 ‘밀가루’ 대란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유럽의 빵 공장으로 불릴 만큼 밀 최대 수출국 중 하나지만 전쟁으로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고 러시아가 흑해 연안을 봉쇄해 운송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인 가뭄으로 주요 밀  생산국들의 수확량이 많이 감소하고 있는 것도 주된 원인이다. 

이런 시점에서 밀 생산량 2위인 ‘인도’가 주목받았지만 인도는 지난 14일 밀 수출 중단을 선언했다. 인도 대외무역총국(DGFT)은 “식량 안보를 확보하고, 이웃 국가와 기타 취약국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밀 수출 정책을 ‘자유’에서 '금지'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젬 외즈데미르 독일 농업 장관은 이런 인도의 조치를 두고 “만약 모두가 수출 규제를 하거나 시장을 닫기 시작하면 위기를 더 악화시킬 것”이라고 우려를 표시했다. 국내에서도 인도의 밀 수출 중단 조치가 국내 밀 공급에도 차질을 빚을 가능성에 대해 걱정하는 목소리가 크다.

그렇다면 인도는 왜 수출문을 걸어 잠근 것일까?

◆인도의 밀 수출은 4%…대부분은 자국용

인도는 애초에 밀 수출을 많이 하지 않았다. 인도의 지난해 밀 생산량은 700만t으로 중국 다음으로 많다. 하지만 인도산 밀은 전 세계 수출량의 4% 정도로 미미한 수준이다. 14억명에 달하는 자국 인구를 먹여 살리기도 벅차, 수출할 여력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인도는 역대 최악의 폭염을 겪고 있다. 인도 기상청은 “지난 3∼4월은 121년 만에 가장 더웠다”고 밝혔다. 수도 뉴델리는 7일 연속 낮 최고기온이 40도를 넘었고 북부 지역의 경우 기온이 47.4도까지 올랐다. 이로 인해 인도의 올해 밀 생산량은 전년 대비 10%에서 많게는 50%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인도 당국은 당초 올해 밀 생산량을 1억100만t으로 예상했지만, 지금은 1억50만t으로 낮춘 상황이다.

인도는 자국 내 밀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고조되고 있다. 이미 지난 4월 물가상승률은 7%를 넘어섰다. 전 정부가 인플레이션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정권을 내준 만큼 나렌드라 모디 총리 역시 국민 불만을 감수하고 밀 수출에 나서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인도 소재 밀밭 모습. 로이터
◆인도 식량 보호주의이집트만 예외?

우크라이나 사태로 밀 공급 부족 우려가 큰 상황이지만 세계 각국은 인도와 마찬가지로 식량안보를 내세우며 수출에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식량 보호주의’ 기조로 돌아선 나라는 23개국에 달한다.

강성용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장은 “인도는 유럽에서 일어난 전쟁으로 밀 가격을 폭등한 것을 자국 책임으로 돌리는 국제사회의 분위기에 대해 굉장히 어처구니없다고 생각한다”며 “수많은 인도인은 1943년 벵골 대기근으로 200∼300만명이 굶주렸을 때 서방이 도와주지 않은 사실을 기억하고 있다. (밀 수출 금지는) 인도 입장에서는 당연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런 상황에도 인도는 이집트에 대해서만은 예외를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이집트는 인도산 밀을 수입하기로 했다며 인도 당국과 밀 수출 금지령 예외 적용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남아시아 패권국을 꿈꾸는 인도가 중동지역의 안정적 관리라는 정치적 목적을 위해 밀을 이용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강 교수는 “이집트 측의 블러핑 전략일 수도 있지만 인도 입장에서도 아랍권 최대 인구를 가진 이집트에 대한 우호적인 조치 통해 대국으로서 면모를 보여주려고 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구현모 기자 lil@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