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플랫폼 스페이셜, 전신 아바타 선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스페이셜(Spatial)이 레디 플레이어 미(Ready Player Me)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전신 아바타와 '커스터마이징(맞춤형 주문제작)' 지원 기능을 새롭게 선보인다고 17일 밝혔다.
레디 플레이어 미는 게임과 메타버스에 접목이 가능한 아바타 플랫폼이다.
이용자는 레디 플레이어 미를 통해 만든 아바타를 여러 메타버스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김성현 기자)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스페이셜(Spatial)이 레디 플레이어 미(Ready Player Me)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전신 아바타와 ‘커스터마이징(맞춤형 주문제작)’ 지원 기능을 새롭게 선보인다고 17일 밝혔다.
레디 플레이어 미는 게임과 메타버스에 접목이 가능한 아바타 플랫폼이다. 이용자는 레디 플레이어 미를 통해 만든 아바타를 여러 메타버스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다.
그간 스페이셜은 상반신 중심의 아바타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이용자들에게 자연스럽고 생동감 넘치는 메타버스 환경을 선보이기 위해, 개발 역량을 집중해 온 스페이셜은 이번 협업으로 하체까지 포함한 전신 아바타와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됐다.
기존 가상·증강현실(VR·AR) 중심의 환경에선 헤드셋 카메라로 상체 움직임에만 집중되는 한계가 있었지만, 웹 중심의 인터넷 환경이 이동해 전신 아바타로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해졌다.
금번 협업으로 이용자는 스페이셜 내 생성된 ‘프로필 피커(Profile Picker)’를 활용해 40개의 신체 모양과 복장, 헤어스타일 중 원하는 영역을 선택해 아바타를 만들 수 있다. 얼굴도 기존 실제 사진을 바탕으로 한 옵션과 레디 플레이어 미 일러스트 기반의 캐릭터 옵션 가운데 고를 수 있다.
스페이셜은 사용자들이 아바타로 신체, 문화적 정체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고, 향후 다양한 문화권의 전통 의상도 선보일 방침이다. 새로운 춤 동작들도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팀무 투케 레디 플레이어 미 최고경영자(CEO)는 “스페이셜과의 파트너십은 레디 플레이어 미 사용자들의 가장 많은 요청 중 하나였다”며 “이용자들에게 본인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게 돼 기쁘다”고 했다.
스페이셜의 공동 창업자인 이진하 최고제품책임자(CPO)는 “메타버스 내 아바타는 사용자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몰입감 높은 환경을 위한 중요 요소로 작용한다”며 “협업을 통해 이용자가 개성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긍정적인 사회적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성현 기자(sh0416@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스페이셜, 영화 '기생충' 작가 NFT 전시회 연다
- 스페이셜, 韓 NFT 아티스트 커뮤니티와 특별 전시회 개최
- 스페이셜, ‘우크라이나 후원’ NFT 전시회 열어
- "'메타버스' 단어 없어지는 세상 올 것"
- 스페이셜, NFT 사고파는 '메타버스 갤러리' 선보인다
- [영상]"3개국어 동시 통역"…삼성SDS, 글로벌 언어장벽 없앤다
- 이재용 회장 "삼성다운 저력 잃어…사즉생 각오로 대처해야"
- 더존비즈온 이어 유뱅크 컨소시엄 ‘제4인뱅’ 재검토
- [Q&AI] 美,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왜?
- "형태준 빈자리 채웠다"…신세계I&C 新 수장 양윤지, 리테일 테크 강화 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