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같은 편의점주인데..' GS·BGF 희비 갈린 이유는

이지은 2022. 5. 17. 16: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편의점 업계 1, 2위를 다투는 GS리테일과 BGF리테일이 올 1분기 실적에서 엇갈린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BGF리테일은 올해 들어 주가가 40% 가까이 상승한 반면 GS리테일은 10% 넘게 하락했습니다.

증권가에서 BGF리테일 목표주가는 상향 조정하는 반면 GS리테일에 대해서는 낮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적 부진 등으로) GS리테일은 좋지가 않죠. BGF리테일은 수급 측면에서 쏠리는 현상이 있고요. 실적도 잘 나왔으니깐 밴드가 더 올라가겠죠."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분기 영업익, GS 줄고 BGF 오르고
GS·BGF리테일, 엇갈린 경영 전략
17일 이데일리TV 뉴스 방송.

<앵커>

국내 편의점 업계 1, 2위를 다투는 GS리테일과 BGF리테일이 올 1분기 실적에서 엇갈린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두 회사 모두 리오프닝(경제 재개) 수혜주인데 희비가 엇갈린 이유, 이지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

편의점 ‘CU’를 운영하는BGF리테일(282330). 올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75% 급증했습니다.

배달·픽업 서비스인 ‘포켓CU’를 통해 온라인 배송에 대응하고, 새벽배송 서비스인 ‘헬로네이처’를 B2B(기업간 거래)로 전환하며 재무건전성을 높인 점이 주효했습니다.

반면 편의점 ‘GS25’를 운영하는GS리테일(007070)의 1분기 영업이익은 20% 넘게 줄었습니다. 디지털커머스 사업, H&B(핼스앤뷰티 스토어 ‘랄라블라’), 자회사 등 신사업 실적이 부진했기 때문입니다.

편의점 사업이 주력인 BGF리테일과 달리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는 점이 되려 발목을 잡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두 회사의 명암은 주가에서도 확연히 드러납니다. BGF리테일은 올해 들어 주가가 40% 가까이 상승한 반면 GS리테일은 10% 넘게 하락했습니다.

앞으로 주가 격차가 더 벌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증권가에서 BGF리테일 목표주가는 상향 조정하는 반면 GS리테일에 대해서는 낮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박종대/하나금융투자 팀장]

“(실적 부진 등으로) GS리테일은 좋지가 않죠. BGF리테일은 수급 측면에서 쏠리는 현상이 있고요. 실적도 잘 나왔으니깐 밴드가 더 올라가겠죠.”

두 기업의 경영 전략은 여전히 엇갈립니다. BGF리테일이 ‘선택과 집중’이라면 GS리테일은 ‘인수합병과 시너지’입니다.

업계 양대산맥인 BGF리테일과 GS리테일. 하반기 두 회사의 실적과 주가의 격차가 줄어들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이데일리TV 이지은입니다.

이지은 (ezez@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