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 코로나19 감염돼도 안 걸리는 '슈퍼 면역자' 있다..왜?

이승구 2022. 5. 17. 10: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의 '기억T세포' 몸 안에 남아..면역 반응
슈퍼전파자 아니면 전파율 낮아.."가족 간 감염 12%에 불과"
"개인의 유전적 차이, 감염 확률에 큰 영향 " 가설도 설득력
게티이미지뱅크
 
국민 3명 중 1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렸거나 걸린 이력이 있는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 

이런 가운데 함께 사는 가족 전원이 걸렸는데도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는 이른바 ‘슈퍼 면역자’들이 있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은 바이러스에 일부러 노출됐는데도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들이다. 

전 세계 과학자들은 이 같은 사람들을 연구하면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앞으로 새롭게 등장할 감염병에 맞설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속속 연구에 뛰어들고 있다. 

동아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현재까지 여러 연구를 종합해본 결과, 슈퍼 면역자들이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는 요인에는 선천적인 면역력과 백신 영향, 바이러스 전파 특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 계통이다. 지난 2003년 유행했던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2012년 유행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도 코로나바이러스 계열의 바이러스다. 

코로나바이러스 중 인간에게 감염되는 것은 현재까지 7종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중 4종은 감기처럼 가벼운 호흡기 감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감기 발생의 약 20%가 이들 바이러스가 원인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과학자들은 코로나바이러스에 한 번 감염된 사람의 경우 같은 계열의 코로나바이러스를 기억하는 면역세포인 ‘기억 T세포’를 보유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인체는 병원체에 감염돼 면역반응이 일어날 때 면역세포인 T세포가 다량 생성되는데 이 중 일부는 기억 T세포로 분화한다.

기억 T세포는 평소 몸속에 장기간 남아 있는데 유사한 병원체가 다시 침입하면 면역반응이 더 빠르게 일어나도록 돕는다. 과학자들도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는 사람에게 발견되는 기억 T세포에 주목하고 있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과 싱가포르의 듀크-싱가포르대 의학대학원 연구팀은 감염 위험이 큰 의료종사자 731명 중 코로나19에 미감염된 58명이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높은 수준의 기억 T세포를 보유하고 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작년 11월 발표했다. 

이들의 기억 T세포는 코로나19에 감염돼 생성된 것이 아니라 그전에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만들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영국 임피리얼칼리지런던(ICL) 연구팀도 올해 1월 코로나19 확진자 가족 52명을 조사한 결과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은 이전에 다른 코로나바이러스를 통해 생성된 기억 T세포를 다량 보유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코로나19 백신은 코로나19에 대한 기억 T세포를 생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백신 접종으로 생성된 기억 T세포는 오미크론 변이에도 반응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는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접종을 받은 40명, 코로나19에 감염된 48명, 백신 접종이나 감염 경력이 없는 48명의 혈액 샘플을 비교한 결과 백신 접종으로 생성된 기억 T세포가 오미크론 변이에 반응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게티이미지뱅크
 
또한 코로나19에 감염된 가족과 함께 있어도 같이 걸릴 확률이 그리 높지 않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미국 유타대 연구팀은 코로나19 유행 초기였던 2020년 5∼6월 8000건의 혈액 샘플을 분석한 결과 가족 중 한 명이라도 확진자가 있을 때 다른 가족 구성원도 감염될 확률이 12%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연구를 주도한 데이먼 토스 유타대 의대 내과 교수는 전체 결과의 80%는 전체 원인의 20%에서 비롯된다는 ‘파레토 법칙’으로 이를 해석했다. 가족 간 감염 가능성보다는 ‘슈퍼 전파자’ 20%가 전체 감염의 80%를 유발한다는 이론이다. 

실제로 중국 선전시 보건당국이 2020년 4월 확진자 391명과 밀접접촉자 1286명을 분석한 결과 확진자 10∼20%가 80%의 감염을 유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타대 연구팀은 다만 “가족 간 전파 확률 12%도 결코 낮은 수치는 아니다”라며 “가족 간에도 밀접한 관계일수록 전파 확률이 높았으며, 부부간 전파 확률은 43%에 이른다”라고 덧붙였다. 

개인의 유전적 차이도 감염 확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점점 과학적 설득력을 얻고 있다. 미국·영국·중국·일본 등 50개국 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코로나19 인간 유전적 노력’ 컨소시엄은 “일부 사람이 바이러스 유입에 자연적으로 내성을 갖게 하는 단일 유전자 변이를 갖고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에 들어갔다. 

컨소시엄 측은 9일 “코로나19에 내성을 갖는 사람들의 유전자를 수집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약 700명의 유전자를 확보했다”며 “5∼6개월 후 분석이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