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노인 노동자 97.6% "계속 일하고 싶다"

경기=임홍조 기자 2022. 5. 17. 09: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 60세 이상 노인 노동자의 97.6%가 계속 일하기를 원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4월 전국 60세 이상 일하는 노인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내용을 담은 '증가하는 노인 노동, 일하는 노인의 권리에 주목할 때'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조사 결과 현재 일을 하는 노인 노동자 대다수(97.6%)가 계속 일하기를 희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 60세 이상 노인 노동자의 97.6%가 계속 일하기를 원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4월 전국 60세 이상 일하는 노인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내용을 담은 '증가하는 노인 노동, 일하는 노인의 권리에 주목할 때'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조사 결과 현재 일을 하는 노인 노동자 대다수(97.6%)가 계속 일하기를 희망했다. 이 가운데 46.3%는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하고 싶어서', 38.1%는 '돈이 필요해서'를 그 이유로 꼽았다. 일하기를 희망하는 연령은 평균 71세까지였다.

일자리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항으로는 △고용 안정성(22.8%) △일의 양과 시간대(21.4%) △임금수준(17.8%) 순으로, 과거 취업 경험과의 연관성이나 출퇴근 편리성 등 일자리 특성과 관련한 사항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고려했다.

일하면서 느끼는 어려움으로는 낮은 임금(24.2%), 신체적 어려움(17.4%), 연령차별(14.1%) 등을 주로 꼽았다.

이와 함께 필요한 정책적 노력으로는 △연령차별 없는 고용체계(29.6%) △노인 친화적 근무환경 조성(24.5%) △수준과 경력에 맞는 일자리 연계(21.5%) 순으로 주문했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2021년 8월)'를 보면 전국 60세 이상 인구 1269만 명 중 노인 경제활동인구는 577만 명(경제활동참가율 45.5%)이다. 일하는 노인의 경우 영세사업장(4명 이하)에서 일하는 비율이 57.5%에 달하고, 임시직 및 일용직에서 일하는 비율도 33.2%로 높게 나타났다.

또 노인 근로자의 월 평균 임금은 167만4000원으로 전체 임금근로자(273만4000원) 대비 약 100만 원이 낮았다. 노인 임시직(101만3000원)과 일용직의 임금(145만8000원)은 노인 상용직(244만8000원)의 절반 이하로 나타나 종사상 지위에 따른 임금격차가 컸다.

이에 경기연구원은 노인 노동자의 권리 보장을 위한 전략으로 △노인 친화적 근로환경 조성을 위한 노인 노동력 활용 기준에 관한 조례 제정 △노인 일자리정책 세분화 △노인 노동조합 활성화 등을 제시했다.

경기연구원 관계자는 "노인 노동자가 처한 열악한 근무환경의 즉각적인 개선을 위해 노인 노동자 고용 및 활용 기준에 관한 지역별 가이드라인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50세' 최은경, 태국서 뽐낸 비키니 자태…핫바디 '깜짝'죄수와 사랑에 빠진 여성 교도관…탈옥 전 '성인용품점' 쇼핑김부선의 분노 "선거 때마다 이용만 하고 너무들…"김구라, '17억 빚' 전처와 또 돈 문제?…"7년째 돈 빠져 나가"배윤정, 11살 연하 남편이 어느 순간 불편한 존재로…
경기=임홍조 기자 hongjo4368@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