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상승에 보험사 재무건전성 '비상'..RBC 비율 '뚝'

강산 기자 2022. 5. 17. 09:03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리 상승 여파로 보험사들의 재무 건전성 지표가 급락해 안정적인 경영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실적을 공시한 보험사들의 지급여력(RBC) 비율은 전반적으로 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흥국화재의 RBC 비율은 올해 1분기 말 146.65%로 전 분기 말보다 8.7% 포인트, DB생명은 139.14%로 18.5% 포인트 하락했습니다.

한화손해보험도 올해 1분기 말 RBC 비율이 122.8%로 전 분기 말보다 54.1%포인트 급락했고 농협생명도 131.5%로 낮아져 급락해 금융당국의 권고 수준인 '150% 이상'을 충족하지 못했습니다.

KB손해보험은 올해 1분기 말 RBC 비율이 162.3%, 한화생명은 161%였고, DB손해보험은 188.7%, 현대해상은 190.7%, 삼성화재는 271.3%로 전분기 말보다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푸르덴셜생명은 올해 1분기 말 RBC 비율이 280.7%로 전 분기 말보다 61.7%포인트, 신한라이프는 255.0%로 29.6%포인트 떨어졌습니다.

삼성생명의 올해 1분기 말 RBC 비율은 246%로 전 분기 말 대비 59%포인트나 급락했습니다.

보험사의 RBC는 고객이 보험금을 청구했을 때 보험사가 일시에 지급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RBC 비율이 100%로 아래로 떨어지면 보험금을 일시에 지급할 수 없다는 의미로, 보험업법에서 보험사에 RBC 비율을 100% 이상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재무 건전성 강화 측면에서 RBC 비율을 150% 이상으로 유지하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각 보험사의 RBC 비율이 급격히 악화한 것은 금리 인상에 따라 매도가능증권으로 분류된 채권의 평가이익이 감소한 탓입니다. 채권 금리 상승은 가격 하락을 의미합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평소 궁금했던 브랜드의 탄생 이야기! [머니랩]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