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금리..변동형 주담대도 6% 찍나

양성희 기자 2022. 5. 17. 05: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미 6%대 금리 시대를 맞은 고정형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이어 변동형 주담대도 6% 금리를 향해가고 있다.

물가 안정 등을 이유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불가피한 만큼 당분간 코픽스와 함께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오름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이날 기준 주요 은행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국민은행 4.00~5.50% △우리은행 4.46~6.37% △농협은행 4.32~5.52%로 5%대 중반~6%대 중반에 걸쳐 있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규취급액기준 코픽스 추이/그래픽=이지혜 디자인기자

이미 6%대 금리 시대를 맞은 고정형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이어 변동형 주담대도 6% 금리를 향해가고 있다.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치솟아서다.

은행연합회는 지난달 신규취급액기준 코픽스가 1.84%로 전월대비 0.12%포인트 상승했다고 16일 공시했다. 신규취급액기준 코픽스는 2019년 5월(1.85%, 같은해 6월 공시) 이후 2년11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신규취급액기준 코픽스는 △1월 1.64% △2월 1.70% △3월 1.72% △4월 1.84%로 올 들어 가파르게 상승 중인데 이같은 속도라면 조만간 2%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7월까지만 해도 1%를 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신규취급액기준 코픽스와 연동하는 주요 은행 주담대 금리는 17일부터 같은 폭(0.12%포인트)으로 오른다. 17일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KB국민은행 3.54~5.04% △우리은행 3.80~5.01% △NH농협은행 3.29~4.49% 수준이다. 상단금리가 5%대에 접어든 만큼 다음 단계는 6%대다.

물가 안정 등을 이유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불가피한 만큼 당분간 코픽스와 함께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오름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변동형 주담대 금리의 계속적인 상승이 예상되는데도 대출 현장에선 변동형 주담대를 선택하는 소비자가 훨씬 많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신규취급액 기준 고정금리 가계대출 비중은 19.5%에 불과했다. 80.5%의 소비자가 변동금리 상품을 이용했다는 의미다. 지난해 3월엔 이 숫자가 각각 29.3%, 70.7%였는데 최근 더 벌어졌다.

아직까지는 고정형 주담대 금리가 변동형 상품보다 높기 때문이다. 이날 기준 주요 은행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국민은행 4.00~5.50% △우리은행 4.46~6.37% △농협은행 4.32~5.52%로 5%대 중반~6%대 중반에 걸쳐 있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연초부터 전문가들은 고정형 금리로 갈아탈 시기를 조율해도 된다고 조언했지만 갈아타는 수요가 드물 뿐만 아니라 신규로 대출을 받는 소비자들도 변동형 금리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어차피 변동형, 고정형 금리 모두 상승세가 뚜렷하기에 당장 저렴한 금리를 고르는 것 같다"고 했다.

[관련기사]☞ 김구라, '17억 빚' 전처와 또 돈 문제?…"7년째 돈 빠져 나가"최연제, '美은행 부사장' 남편+대저택 공개…운명적 만남 '눈길'드라마 '내일', 망자 명부에 BTS 멤버 실명·생년월일…"무슨 의도냐""마조히스트였다"…남친 고문·살인한 부산 여대생, '10년 감형'메간 폭스, 파격 노출 드레스…4살 연하 남친과 '달달' 스킨십
양성희 기자 ya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