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냉키 전 의장 "인플레 대응 늦은 연준, 실수 저질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실수를 저질렀다."
벤 버냉키 전 연준 의장은 16일(현지시간) CNBC와 인터뷰에서 "문제는 (연준이 높은 인플레이션에 미리 대응하지 않고) 왜 정책을 지연했느냐 인데, 되돌아보면 그것은 실수였다"며 이렇게 말했다.
버냉키는 "(긴축 지연이) 실수였다는 걸 그들이 동의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도 "파월 의장이 이끄는 연준이 왜 기다렸는지 이해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실수를 저질렀다.”
벤 버냉키 전 연준 의장은 16일(현지시간) CNBC와 인터뷰에서 “문제는 (연준이 높은 인플레이션에 미리 대응하지 않고) 왜 정책을 지연했느냐 인데, 되돌아보면 그것은 실수였다”며 이렇게 말했다. 버냉키는 2006년부터 8년간 연준을 이끌며 글로벌 금융위기 국면을 지휘했다. 제롬 파월 현 의장이 연준 이사였던 2012~2013년 때는 함께 일하기도 했다.
버냉키는 “(긴축 지연이) 실수였다는 걸 그들이 동의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도 “파월 의장이 이끄는 연준이 왜 기다렸는지 이해한다”고 말했다.
버냉키는 “그 이유 중 하나는 그들이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는 걸 원했기 때문”이라며 “파월 의장은 2013년 당시 테이터 탠트럼(긴축 발작) 때 (연준 이사로서) 회의에 참석했는데, (탠트럼으로 시장이 흔들리는 걸 보는 건) 매우 불쾌한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테이퍼 탠트럼은 주로 양적완화(QE)로 풀린 돈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일부 신흥국들의 통화가치와 주가가 폭락했던 현상을 말한다.
버냉키는 “(시장 충격을 피하기 위한) 점진적인 대응은 연준이 지난해 중반 인플레이션 압력에 더 빨리 대응하지 않은 몇 가지 이유 중 하나였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지금은 연준이 긴축을 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많은 지지가 있다”며 “(오일쇼크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이 덮쳤던) 1970년대로부터 많은 걸 배웠기 때문에 지금 상황이 더 나은 것 같다”고 했다.
김정남 (jungkim@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3일중 이틀 지각?" 사상 첫 출퇴근 대통령, 근태 관리 어떻게[궁즉답]
- "윤석열, 신발 산 게 근무냐…'24시간 업무' 궁색" 김어준 비판
- "전자발찌 인증하면 저녁 공짜"…당근마켓 '전과자 모임' 논란
- "하늘나라에선 사기치지마"…인천 오토바이 매장서 살인사건
- 조민아 "쇼크로 정신 잃어"… 무슨 일?
- 배윤정, 11살 연하 남편과 갈등 고백 "죽고 싶었다"…오은영 '진단'
- '청년 1억 통장' 출시도 안했는데...정보 카페에 수천명 '와글와글'
- "맥주병 수액에 녹슨 주삿바늘"…北 취약한 의료환경 우려
- '텅빈 마트 매대'..식용유發 물가 대란 오나
- 루나 투자자 손실 눈덩이…"실태 파악도 어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