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나·테라 사태, 몇달 뒤 터졌으면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사건"

조성민 입력 2022. 5. 16. 2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블룸버그통신은 15일(현지시간) "이번 사태가 가상화폐 시장 자체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예상은 과장"이라면서도 "그러나 앞으로 몇 달이 지나 테라USD(UST)·루나가 더 성장했을 때 이번 사태가 터졌더라면 디파이(탈중앙화 금융)의 2008년 세계 금융위기 같은 사건으로 번졌을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번 UST·루나 폭락으로 가상화폐 시장이 망하지는 않았지만, 그런 사태를 아슬아슬하게 피했다"고 덧붙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업비트와 빗썸이 ‘루나(LUNA)'에 대한 거래지원을 종료를 공지해 혼란이 계속되고 있는 16일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 태블릿에 ‘루나(LUNA)'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업비트와 빗썸은 루나에 대한 거래 지원을 각각 오는 20일, 27일에 종료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뉴시스
블룸버그통신은 15일(현지시간) “이번 사태가 가상화폐 시장 자체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예상은 과장”이라면서도 “그러나 앞으로 몇 달이 지나 테라USD(UST)·루나가 더 성장했을 때 이번 사태가 터졌더라면 디파이(탈중앙화 금융)의 2008년 세계 금융위기 같은 사건으로 번졌을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번 UST·루나 폭락으로 가상화폐 시장이 망하지는 않았지만, 그런 사태를 아슬아슬하게 피했다”고 덧붙였다.

가상화폐 정보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폭락 사태 직전인 지난 8일 기준 UST의 시가총액은 186억달러(약 23조9000억원)였다. 이처럼 UST의 규모가 테더(시총 832억달러), USDC(시총 487억달러)에 이어 스테이블 코인 3위에 머물렀기 때문에 이번 사태가 더 번지지 않았지만, 좀 더 나중에 터졌더라면 이야기가 달랐을 것이라는 게 블룸버그의 지적이다.

다만 UST와 같은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 코인은 이번 사태로 사라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가상화폐 거래소 FTX를 창업한 샘 뱅크맨-프라이드 최고경영자(CEO)는 블룸버그에 “이른바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은 법정화폐로 뒷받침되는 스테이블 코인과 같은 방식으로 안정적인 것이 전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은 구조화 상품에 가깝고 관련 리스크를 정당화하려면 그 가치가 오를 필요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루나와 UST의 세계적열풍을 몰고 온 ‘연 20% 수익률’의 비결은 신규 투자자의 자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을 보장하는 ‘폰지 사기’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찍부터 루나와 UST의 위험성을 지적해왔던 가상화폐 업계 베테랑인 케빈 저우는 블룸버그에 이같이 주장했다.

저우는 이 고수익의 비결을 테라폼 랩스가 보유한 루나에서 찾았다. 루나는 스테이블 코인인 UST의 가치를 1달러에 고정(페깅)하는 데 활용되는 가상화폐다. 테라폼 랩스가 보유한 루나를 할인된 가격에 팔아 약속한 수익률을 제공하는 데썼다는 것이다. 그는 “수익이 어디서 나오는지 알 수가 없을 때는 사실상 미래의 ‘호구’(bag holder)로부터 나온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즉, 뒤늦게 가상화폐 시장에 뛰어든 투자자가 현 투자자의 수익을 위해 돈을 대주는 전형적인 폰지 사기였다는 의미다.

이론적으로는 테라폼 랩스가 앵커 프로토콜로 제공하는 수익률을 낮췄다면 상황이 나아질 수 있었겠지만, 그로 인해 투자자들이 UST 시장 자체를 떠날 위험이 있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한창 성공 가도를 달리던 UST 생태계가 무너지게 된 계기는 테라폼 랩스가 UST의 가치를 떠받치기 위해 비트코인을 대거 사들인 것이 계기가 됐다고 저우는 진단했다. 저우는 “메커니즘이 한번 붕괴하자 이를 막아줄 서킷 브레이커가 없었다. 연방준비제도의 긴급 대출도 없었고, 민간 투자자의 구제금융도 없었다”고 말했다.

저우는 2011년 가상화폐 업계에 뛰어들어 ‘버터코인’이라는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일했으며 가상화폐 투자 헤지펀드 ‘갈루아 캐피털’을 설립, 운용하고 있다.

조성민 기자 josungmi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