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두 번째 밀 생산국' 인도 수출 금지에 국제 밀 가격 급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 두번째 밀 생산국인 인도의 갑작스러운 밀 수출 금지에 국제 밀 가격이 급등했다.
16일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 는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밀 선물 가격이 장중 한때 부셸(약 25.4㎏)당 12.47달러로 5.9% 급등해 두달 만에 최고 가격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파이낸셜>
인도는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밀 생산국이지만 중국과 마찬가지로 자국 수요가 커서 수출 시장에서 원래 비중이 큰 나라는 아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 두번째 밀 생산국인 인도의 갑작스러운 밀 수출 금지에 국제 밀 가격이 급등했다.
16일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는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밀 선물 가격이 장중 한때 부셸(약 25.4㎏)당 12.47달러로 5.9% 급등해 두달 만에 최고 가격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날 <로이터> 통신은 유로넥스트 거래소에서 장중 한때 t당 435유로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인도 대외무역총국(DGFT)은 13일 밤부터 밀 수출을 원칙적으로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섭씨 45도까지 오르는 기록적인 봄철 더위에 따른 밀 생산 감소로 인도 내에서 밀 가격이 최근 20~40% 급등하자 전격적으로 취한 조처였다.
올해 국제 밀 가격은 60% 이상 급등했다. 세계 밀 수출 1위와 5위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인데, 러시아가 지난 2월 24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두 나라가 밀을 정상적으로 수출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인도는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밀 생산국이지만 중국과 마찬가지로 자국 수요가 커서 수출 시장에서 원래 비중이 큰 나라는 아니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인도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산 밀을 대체할 수출국 중 한 곳으로 주목을 받았는데, 인도가 돌연 밀 수출을 중단하자 국제 곡물 시장이 크게 요동친 것이다.
밀 뿐 아니라 콩 등 세계 주요 곡물 가격은 최근 상승세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지난달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58.5포인트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159.3보다는 다소 낮아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다. 이는 세계적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겹살에 미친 ‘푸틴 효과’…한국인 밥상 엎는다
- 윤 대통령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시민들 “진정성 꾸준히 보여달라”
- ‘대선 전 봉하마을행’ 윤 대통령,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안 간다
- 떡볶이에도 와인 곁들이는 MZ세대…와인장터서 뭘 ‘득템’했나
- ‘무지개’ 유니폼 거부한 축구선수, 명단 제외…영국서는 커밍아웃
- 레베카 곰퍼츠 “미국서 임신중지약 요청 쇄도, 작년만 4만5천건”
- [단독] 대통령실 “한-중 공급망 협력 방안 마련하라” 산업부에 지시
- 밀가루 공장은 “출하량 늘었다”, 판매상은 “물량 없다”…범인은?
- 대면등교가 괴로운 학생들…‘백 투 스쿨 블루’ 대책이 필요해
- 5월만 되면 울던 스님…무등산 군왕봉 ‘무명묘’ 16기의 사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