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차법 2년차..서울에선 월세가 처음 전세 추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서울에서 체결된 주택 임대차계약 중 절반 이상은 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대차 2법'(전월세상한제·계약갱신청구권제) 2년째인 올해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더욱 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6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를 분석한 결과, 올해 1~4월 서울 지역 임대차 중 월세 비중은 51.6%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0대 임차인 비중 늘고 50대 이상은 감소
"임대차법으로 전세의 월세화 빨라져"
올해 서울에서 체결된 주택 임대차계약 중 절반 이상은 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높은 비중이다. '임대차 2법'(전월세상한제·계약갱신청구권제) 2년째인 올해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더욱 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6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를 분석한 결과, 올해 1~4월 서울 지역 임대차 중 월세 비중은 51.6%로 나타났다. 월세 비중은 2019년 41%에서 2020년 41.7%, 지난해 46%로 꾸준히 상승했고 급기야 전세를 추월했다.
서울의 전월세계약도 증가세다. 1월부터 4월까지 '확정일자'를 받은 임대차계약은 29만1,858건이다. 이미 지난해 전체 계약(71만2,929건)의 40.9%에 해당해 올해도 전월세 건수가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지역 임차인은 젊은 층 비율이 늘고 있다. 30대 임차인 비중은 2020년 29.58%, 지난해 30.72%, 올해는 4월까지 35.12%로 확대됐다. 반면 50대 이상은 같은 기간 29.73%→27.84%→23.64%로 줄어들었다. 직방은 대출 규제 등으로 자금 마련이 쉽지 않은 젊은 층이 주택 매수보다는 임차를 선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직방 관계자는 "최근 금리가 꾸준히 상승하면서 대출이자가 월세보다 비싸 임차인들의 월세 선호도가 높아진 측면도 있다"며 "젊은 층의 주거비 경감과 안정적 임차계약 등 주거 안정을 위한 정책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임대차2법으로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심화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교수)는 "전세 가격 급등에 따른 대출 부담으로 세입자들이 월세시장으로 유입됐다"며 "임대차법 시행 2년이 되는 올해 8월에는 전세의 월세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서현정 기자 hyunjung@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내년 병장 월급 100만원 준다"... 尹 공약 '절반' 수준
- '정치방역'이라더니 정은경 유임설까지?… 안개속 방역지휘부
- "과호흡성 쇼크로 기절, 매일이 지옥"…조민아, SNS로 고통 호소
- 캠프장에서 사라진 7세 딸, 3년 만에 유골로 돌아오다
- 장마당서도 약 동났다...'공급난'에 격노한 김정은 "군 투입 명령"
- 아이유, 생일에 2억1천만 원 쾌척..."의미 깊어"
- 이준석이 비판한 이재명의 '신발 벤치'...김은혜까지 사과한 까닭은
- 민주 "尹과 강용석 통화, 중립 위반" 대통령실 "사실 무근"
- '루나 코인' 폭락에 권도형 집 무단 침입 BJ 경찰 출석 "대책 마련하라"
- 윤재순 비서관, 상습 음담패설·폭언에도 '탄탄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