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대영채비와 전기車 충전사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구시가 민간 주도의 전기차 충전사업 활성화를 위해 민간충전사업자와 손을 맞잡았다.
16일 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대영채비㈜와 기축 공공시설에 대한 전기차 충전시설의 설치와 관리·운영을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민간 주도의 충전사업 활성화를 위한 계기를 만든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市, 민간 주도 산업 생태계 조성
【파이낸셜뉴스 대구=김장욱 기자】 대구시가 민간 주도의 전기차 충전사업 활성화를 위해 민간충전사업자와 손을 맞잡았다.
16일 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대영채비㈜와 기축 공공시설에 대한 전기차 충전시설의 설치와 관리·운영을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민간 주도의 충전사업 활성화를 위한 계기를 만든다고 밝혔다. 시는 기축 공공시설에 대한 충전시설 설치와 관리.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민간충전사업자와 협업하기로 하고, 지역 기업인 대영채비와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를 통해 시는 공공시설에 법정 충전시설을 충족할 수 있게 됐고, 지역 기업은 충전사업 역량 증대와 새로운 수익 모델 창출의 기회로 삼아 충전사업과 관련한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 특히 대영채비는 충전사업과 함께 직접 충전기를 제조하는 기업으로, 안정적인 충전 서비스와 새로운 서비스 개발이 용이해 시민들에게 양질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권영진 시장은 "이번 협약으로 전기차 충전사업이 본격적인 민간 주도 사업으로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면서 "지역을 중심으로 친환경차 관련 산업 생태계가 조성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기차 보급사업을 처음 시작한 지난 2016년부터 지금까지는 충전 수요 부족에 따른 낮은 사업성으로 민간 충전사업이 활발하지 못해 정부 주도의 충전인프라 구축사업이 주축이 돼 왔다. 시의 경우 2017년 충전기 관제센터를 열고 충전인프라 구축사업과 충전기 관리-운영, 민원 대응을 위한 콜센터 운영으로 전기차 이용자들의 충전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힘써왔다.
하지만 정부의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과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하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 출시로 전기차 증가세가 가파르게 상승함에 따라 정부 주도의 사업으로 급증하는 충전 수요에 대응하기 어려워졌다.
최근 친환경자동차법 개정으로 주차면 50면 이상의 기축 시설에도 주차면 총수의 2% 이상 충전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의무가 부과돼 필요한 충전시설의 수가 더욱 늘어나게 됐다.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촌 동생이 밤마다..." 못 참고 경찰에 신고한 후기
- "엄친아인데 결혼식 하객이 왜..." 남편 정체에 경악한 사연
- 키 180cm, 49kg 아이돌의 체중감량 비결 "온종일..."
- 25세 태국 여성의 정체..75억에 성북동 200평 주택 매입 완료
- 연쇄살인범 강호순 만난 여성교수 "강호순이 내게.."
- 마포 제네시스, 골목서 의문의 급가속..처참한 현장 사진
- 두 아이 엄마를 25t 트럭이..비극 영상에 한문철 안경 벗고는
- "자산 25억, 키 180cm" 상남자의 진지한 중매 전단 논란
- '김연경·남진' 논란에 탁현민 뜻밖의 발언 "김제동은.."
- 40대 여성 장애인, 지하주차장서 웅크린 자세로 숨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