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디지털 격차.. 서울 노인 절반 "키오스크 안 써봤다"

예병정 2022. 5. 16. 18: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키오스크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고령층의 이용률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디지털재단은 시민의 디지털 역량 수준을 파악하고자 만 19세 이상 서울시민 5000명을 대상으로 한 '서울시민 디지털 역량 실태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서울시민의 디지털 역량수준은 △디지털 태도 64.6점, △디지털 기술이용 64.1점, △디지털 정보이해 63.1점, △디지털 안전 61.5점 순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민 디지털 역량 조사
노인 34% "사용방법 몰라"

코로나19 영향으로 키오스크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고령층의 이용률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디지털재단은 시민의 디지털 역량 수준을 파악하고자 만 19세 이상 서울시민 5000명을 대상으로 한 '서울시민 디지털 역량 실태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서울시민의 디지털 역량수준은 △디지털 태도 64.6점, △디지털 기술이용 64.1점, △디지털 정보이해 63.1점, △디지털 안전 61.5점 순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비판적 정보이해 59.7점 △보안 52.6점 등 대응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령층은 전체 시민 평균을 100으로 했을 때 여러 항목 중 디지털 기술 이용역량 수준이 67.2%로 가장 격차가 컸다. 특히 키오스크를 이용해 본 고령층은 단 45.8%에 불과했다. 75세 이상 고령층은 사용하기 어려운 키오스크로 패스트푸드점(53.3%), 카페(45.7%), 음식점(44.4%)을 꼽았다. 고령층이 키오스크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사용방법을 모르거나 어려워서'(33.8%) △'필요가 없어서'(29.4%) △'뒷사람 눈치가 보여서'(17.8%) 순으로 조사됐다.

디지털 기기 및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어려움이 발생했을 때, 고령층 5명 중 1명은 해결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의 도움을 받는 방식은 '전화문의(73.7%)'와 '지역거점방문(45.3%)'을 선호했다.

지역별로는 5대 권역별 차이를 보였는데, 도심권(종로·중구·용산)은 평균대비 전반적 역량수준이 높았다. 반대로 동북권(성동·광진·동대문·중랑·성북·강북·도봉·노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디지털기기 보급률은 스마트폰(96.5%), 컴퓨터(67.5%), 태블릿PC(21.0%), 스마트워치·밴드(9.9%), 인공지능스피커(9.0%), 피쳐폰(3.6%) 순이었다. 피쳐폰 보급률을 보면 65~74세(5.3%), 75세 이상(18.1%)에서 높았다.

이번 조사결과는 서울시의 디지털 포용 정책 수립과 서울시가 추진하는 수요자 맞춤형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 및 지역별 교육자원 배분 등에 활용하게 된다.

강요식 서울디지털재단 이사장은 "디지털 사회에서 시민 모두가 소외나 배제 없이 디지털 기술이 가져오는 기회와 혜택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며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포용 사업을 더 촘촘히 기획하고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