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원로들 "국민기업 아니라고 한 경영진은 자성하라"

김강한 기자 2022. 5. 16. 16:4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73년 6월 9일 오전 7시 30분 박태준 회장과 박종태 포항제철 초대 소장 등 직원들이 용광로에서 첫 쇳물을 뽑는 데 성공하자 다같이 만세를 부르며 환호하고 있다. / 포스코 제공

포스코창립멤버 6명이 “포스코 정체성을 훼손하는 현 경영진의 진정한 자성을 촉구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황경로(92) 2대 포스코 회장, 안병화(91) 전 포스코 사장, 이상수(91) 전 거양상사 회장, 여상환(85) 전 포스코 부사장, 안덕주(84) 전 포스코 업무이사, 박준민(82) 전 포스코개발 사장은 16일 오전 성명서를 통해 “최근 각종 언론을 통해 현 포스코 경영진이 갑자기 ‘더 이상 포스코는 국민기업이 아니다’라는 요지의 ‘포스코 정체성’을 부정하는 글을 직원들에게 배포함으로써 이를 비판하고 비난하는 사회적 파장이 일어났다는 기사를 접한 창립 원로들은 선배로서 큰 당혹감을 느끼며 후배 경영진에게 우리의 의견을 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앞서 포스코그룹 지주회사인 포스코홀딩스는 지난달 초 사내 메일을 통해 “포스코그룹이 국민 기업이라는 주장은 현실과 맞지 않으며 미래 발전을 위해서도 극복해야 할 프레임”이라고 밝혔다.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조선일보DB

이에 대해 창립요원들은 “민족기업, 국민기업이라는 수식어는 포스코가 민영화되었다고 없어지지는 않는다”며 “법규적 요건에 의한 ‘국민기업’과 역사적, 윤리적, 전통적 근거에 의한 ‘국민기업’ 칭호는 구별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상업상 주식회사인 국영기업체로서 출범한 포스코가 대일청구권자금에 의존해 포항 1기 건설을 시작한 당시부터 줄곧 ‘제철보국’의 기치 아래 성공적으로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정도경영의 모범’을 보이며 중화학공업을 선도해 나가 자연스럽게 ‘국민기업’이란 영예의 애칭이 따르게 된 것이지 일정 요건에 의한 법적 칭호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1976년 5월 31일 박정희 대통령과 박태준 사장(당시)이 포항제철 2고로 화입을 하고 있는 모습./연합뉴스

이어 “최정우 회장에게 직접 의사를 통보하려 했으나 극구 대면을 회피해 우선 우리의 의견을 공개한다”며 “1968년 4월 포스코 창립멤버 34인 중 25인이 타계하고 현재 건강 상태가 비교적 괜찮은 우리 6인을 포함해 9인만 생존해 있지만 이번 고언에는 하늘에 계신 박태준 회장을 비롯한 창립멤버 34인 모두의 이름으로 ‘포스코 정체성을 훼손하는 현 경영진의 진정한 자성을 촉구하는 뜻’을 담았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