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장혁 교수팀 나노닷 합성 디스플레이 논문 '네이처' 게재

박소라 2022. 5. 16. 14: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권장혁 경희대 정보디스플레이학과 교수 연구팀이 유기물질을 이용한 오가닉 나노닷(organic nano-dot) 합성과 광변환 필름 기술을 개발했다.

동일한 색을 갖는 녹색 유기나노닷은 색 변환 효율이 31.1% 더 높다.

권장혁 교수는 "유기 나노닷은 고 내열성 장점과 수분과 산소에 덜 민감하다는 장점이 있다"면서 "향후 다양한 디스플레이 분야와 차세대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분야에 활용성이 매우 높아 보여 국제특허 출원을 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권장혁 경희대 정보디스플레이학과 교수 연구팀이 유기물질을 이용한 오가닉 나노닷(organic nano-dot) 합성과 광변환 필름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 내용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게재됐다.

권장혁 경희대 정보디스플레이학과 교수 연구팀은 유기물질을 이용한 오가닉 나노닷(organic nano-dot) 합성과 광변환 필름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 내용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게재됐다. 사진 맨왼쪽 권장혁 교수, 맨 오른쪽 워커 교수와 연구진들.

기존 액정표시장치(LCD)나 퀀텀닷 유기발광다이오드(QD OLED)는 우수한 색특성과 우수한 색변환 재료로 퀀텀닷으로 알려진 무기 양자점을 사용한다. 이 재료는 수분과 산소, 열에 취약하다. 색 변환 제조 공정과 고온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기 어려웠다.

권장혁 교수팀과 워커 교수 그룹은 일반적인 유기 형광 물질을 활용해 균일한 크기의 나노닷을 최초로 합성했다. 이를 색 변환 층에 적용했다.

일반적인 유기물질 사이에 응집 현상이 발생하면 안정화 효과에 의해서 스펙트럼이 넓어져 색 순도와 발광 효율이 저하된다.

용액·기체 상태 형광 물질이 일정 농도 이상이 될 때 형광 수율이 낮아지는 '농도소광'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때 발광 효율이 떨어진다.

이번 연구에서는 응집 현상을 조절하기 위해 계면 활성제를 활용했다. 붕소계 재료를 사용해 색 순도가 무기 양자점 수준과 동일한 적색, 녹색, 청색 나노닷을 합성했다. 색 변환 층으로 주로 사용하는 무기 양자점 재료와 비교해 뛰어난 광화학적, 열안전성을 구현했다.

연구팀은 색 변환 효율도 연구했다. 일반적인 녹색 무기 양자점의 색 변환 효율은 21%에 그친다. 동일한 색을 갖는 녹색 유기나노닷은 색 변환 효율이 31.1% 더 높다. 적색 유기 나노닷도 색 변환 효율이 27.8%로 상당히 높았다.

연구팀은 대기 중 산소, 수분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한 달 정도 상온에서 보관했다. 그 결과 무기 양자점 색 변환 효율은 절반으로 감소했지만 유기 양자점의 경우 1% 정도 감소하는 결과를 확보했다.

유기 나노닷이 무기 양자점보다 상온에서 수분, 산소로부터 안정적임을 증명했다.

권장혁 교수는 “유기 나노닷은 고 내열성 장점과 수분과 산소에 덜 민감하다는 장점이 있다”면서 “향후 다양한 디스플레이 분야와 차세대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분야에 활용성이 매우 높아 보여 국제특허 출원을 했다”고 말했다.

박소라기자 srpark@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