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난 우주쓰레기.. 위성과 충돌 위험성 커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주에 쓰레기의 증가에 따라 인공위성 등과의 충돌 가능성이 커져 일본 정부가 위성의 궤도 이용과 관련한 규칙을 만들기로 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6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운용하는 인공위성이 우주쓰레기와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사례는 지난 해 268건으로 지금까지 가장 많았다.
일본 정부는 충돌 위험이 낮은 궤도에서 인공위성의 운용을 촉진하는 한편 충돌 사고를 막기 위한 규칙을 만들기로 하고 검토에 들어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공위성 궤도 이용 규칙 만들기로
신문에 따르면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운용하는 인공위성이 우주쓰레기와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사례는 지난 해 268건으로 지금까지 가장 많았다. JAXA는 미국이 제공하는 정보 등을 활용해 충돌 위험도를 분석해 확률이 1만분의 1이상일 경우 ‘고위험’으로 분류한다. 지금까지는 2019년이 181건으로 가장 많아 200건을 넘지 않았다. 실제 지난해에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설치된 로봇팔이 우주쓰레기와 충돌해 5㎜ 정도의 구멍이 생기기도 했다.
충돌 위험성의 증가는 발사되는 위성의 숫자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러시아가 자국 위성을 미사일로 폭파시키는 실험을 진행해 우주쓰레기가 대량으로 발생하기도 했다. 신문은 “여러 개의 소형통신위성을 결합해 운용하는 ‘위성 컨스텔레이션(constellation)’의 확대도 걱정거리”라며 “미국이 추적하고 있는 10㎝ 이상의 인공물은 약 2만5000개로 지난해보다 10%가량 증가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충돌 위험이 낮은 궤도에서 인공위성의 운용을 촉진하는 한편 충돌 사고를 막기 위한 규칙을 만들기로 하고 검토에 들어갔다. 고즈카 소이치로(小塚荘一郎) 가쿠슈인대(学習院大) 교수는 “무질서한 궤도 이용은 불이익이 크다는 공통 인식을 넓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쿄=강구열 특파원 river910@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