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찬스 때문?"..2030 상위 20% 자산 1억원 늘 때 하위 20% 300만원↑

김정은 2022. 5. 16. 06: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 뉴스]
2030 청년세대 내 자산 격차가 1년 전보다 더 벌어졌다. 자산 상위 20% 가구의 자산 증가액이 하위 20% 가구의 무려 3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3월 말 기준 20∼30대가 가구주인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5651만원으로 1년 전보다 3802만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자산 상위 20% 가구(9억8185만원)와 하위 20% 가구(2784만원)의 자산 격차는 35.27배로 전년보다 0.07배포인트 확대됐다. 상위 20% 가구와 하위 20% 가구의 자산 증가율은 각각 12.8%, 12.6%로 비슷했다. 하지만 증가액은 각각 1억1141만원, 311만원으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원래 갖고 있던 자산의 출발선이 워낙 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30대의 자산 5분위 배율은 코로나19 이후 시중에 돈이 풀리면서 부동산·주식 등 자산 가격이 크게 오르기 전인 2019년(33.21배)과 비교하면 2.06배포인트 확대됐다. 2019년에는 상위 20% 가구의 자산이 8억원, 하위 20% 가구의 자산은 2409만원이었다.

20∼30대 가구의 경상소득 5분위 배율은 2020년 기준 6.52배로 전년(6.58배)보다는 소폭 개선됐다. 소득 상위 20%의 경상소득(1억2832만원)이 1년 전보다 742만원(6.1%) 늘었고, 하위 20%의 경상소득(1968만원)은 131만원(7.2%) 늘어났다.

작년 기준으로 자산이 상위 20%인 20∼30대 가구의 전년도 평균 경상소득은 1억592만원으로 자산 하위 20% 가구의 경상소득(387만원)의 3.43배였다.

경상소득도 격차가 상당하지만, 청년 세대 내 자산 격차를 설명하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부모 등으로부터 받은 자산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의미다.

김 의원은 "소득 격차만으로는 35배에 달하는 자산 격차를 설명하기 어렵다"며 "삶의 출발선에서부터 극복하기 어려운 격차를 안고 시작하는 것은 공정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는 정의로운 전환이 절실한 시기"라며 "'부모 찬스'가 없는 청년들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공정의 사다리가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정은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