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에 위기 느꼈나..'1.4나노' 선언한 TSMC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세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1위인 대만의 TSMC가 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하면서 삼성전자와의 격차를 늘리겠다고 선언했다.
업계에선 삼성전자의 거센 추격에 초조한 마음을 드러낸 것이란 해석이 나오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조만간 양산을 시작할 3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공정에서 TSMC를 확실히 앞서는데 집중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나노 앞서가는 삼성전자 견제 해석
(서울=뉴스1) 문창석 기자 = 전세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1위인 대만의 TSMC가 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하면서 삼성전자와의 격차를 늘리겠다고 선언했다. 업계에선 삼성전자의 거센 추격에 초조한 마음을 드러낸 것이란 해석이 나오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조만간 양산을 시작할 3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공정에서 TSMC를 확실히 앞서는데 집중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대만 연합보는 TSMC가 기존의 3나노 공정 연구개발팀을 1.4나노 공정 연구개발팀으로 전환해 다음 달부터 정식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TSMC의 시도는 파운드리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인텔의 추격을 따돌리고 기술 격차를 통해 업계 선두를 유지하려는 목적이다. 현재 5나노 양산 체계를 갖춘 TSMC는 올해 안에 3나노, 2025년까지 2나노를 양산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투자도 공격적이다. TSMC는 올해 설비 투자에 최대 440억달러(약 56조4000억원)를 쓸 계획이다. 이는 전년 300억 달러보다 47% 증가한 수준이다.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에 총 171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전액 파운드리에 투자한다 해도 연간 20조원이 되지 않는 만큼 TSMC와의 격차가 더욱 벌어질 수 있다.
일각에선 삼성전자의 추격에 TSMC가 초조한 마음을 드러낸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그동안 삼성전자의 고민은 3나노 제품의 낮은 수율이었다. 이에 대해 강문수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부사장은 지난달 28일 1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3나노 공정은 생산량 확대 기간을 줄이고 수익성을 높여 공급 안정화를 추진 중"이라며 "2분기에 업계 최초로 양산을 시작해 경쟁사보다 기술 우위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안에 3나노를 양산할 계획인 TSMC보다 더 빠른 것이다.
2나노 반도체 공정도 삼성전자가 한발 앞서있다는 평가다. 삼성전자는 2025년에 2나노 양산에 들어가겠다는 계획을 제시한 바 있다. TSMC의 목표도 2025년이지만 초미세공정에 적합한 GAA 공정을 3나노부터 도입한 삼성전자와 달리 아직 기존의 핀펫 방식을 유지하고 있어 좀 더 늦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중국 매체인 콰지커지는 "TSMC의 2나노 제품은 2024년 시험 예정이라 실제 대량 생산은 2026년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2분기 내에 3나노 양산을 선언한 지 보름 만에 대만 매체를 통해 1.4나노 개발 계획이 보도된 것"이라며 "아직 2나노 양산도 멀었는데 1.4나노 개발에 착수한다는 건 너무 나갔다. 3나노에서 삼성전자에 뒤처지는 것처럼 보이자 애플·구글·아마존 등 고객사에 자사의 기술력을 어필하기 위해 자국 언론에 일부러 흘린 것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콰지커지는 "1.4나노 반도체는 개발이 순조롭게 이뤄져도 2027~2028년에나 나올 수 있다"고 전망한다. 업계에선 양산까지 아무리 빨라도 5년은 걸릴 1.4나노 발표에 흔들리지 말고 지금의 3나노 양산에 집중하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도전자의 입장에서 3나노 수율을 더욱 높여 TSMC를 확실하게 앞서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새롭게 들어선 윤석열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TSMC는 여전히 대만 정부로부터 금융·세제·용수·전력·인력 등 모든 면에서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개별 기업의 개인기로 반도체 산업이 발전했지만 대만은 철저하게 국가 주도였다"며 "기업 주도 방식은 한계가 있는 만큼 새 정부가 TSMC를 추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themoo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고현정, 시퍼런 멍투성이 얼굴…흰머리까지 '깜짝' [N샷]
- "아빠 모두 다른 애 셋 여자와 재혼한다는 친오빠…집안 뒤집어졌다"
- "아내가 대표, 저는 그 회사 직원…아무 곳에서나 '변태XX네' 막말"
- 학생 태운 태권도차 기사, 고속도로서 양손은 폰에 다리는 창틀에 '아찔'[영상]
- "불륜 들켜 갈라서자는 아내 붙잡았는데…지금도 상간녀 너무 좋아, 이혼 간절"
- 유부남 손님 "비키니 입고 장사해라"…자영업자 "룸살롱을 가라" 분노
- 황재균, 지연과 이혼 후 근황…"아저씨들의 낭만" [N샷]
- 추성훈과 대판 싸운 야노 시호 "맘대로 집 공개해 너무 화나…많이 울었다"
- 故 오요안나, 생전 일기장 공개 "선배들, 쉴 새 없이 날 욕해"
- 이하늬 측, 65억 부동산 매입 자금 의혹에 "적법 절차 따라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