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곡물 자급률/전경하 논설위원

전경하 2022. 5. 16. 05: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300g 두부 한 모 값은 크게 두 가지다.

곡물별로 보면 주식인 쌀(92.8%)을 제외하고는 밀(0.5%), 콩(6.6%), 옥수수(0.7%) 등은 거의 수입한다.

세계 곡물값이 오르면 사료비와 고기값도 충격을 받는 취약한 구조다.

우리 정부도 올해 국산 밀 비축물량을 지난해보다 5600t 늘어난 1만 4000t으로 잡고 매입 시기도 한 달 앞당겨 6월 말부터 사들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00g 두부 한 모 값은 크게 두 가지다. 국산콩으로 만들었으면 2000원이 훌쩍 넘는다. 외국산 대두로 만들었으면 1000원대다. 부침가루도 국내산 밀가루 제품은 외국산 밀가루 제품보다 2~3배 정도 비싸다. 우리 땅에서 자란 농산물을 쓰자는 생각에 국내산을 고르려 하지만 2~3배 가격 차이는 부담스럽다.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곡물 수입국이다.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곡물 자급률이 19.3%(2020년 기준)다. 일본이 27.3%, 중국 91.1%, 미국 120.1%다. 곡물별로 보면 주식인 쌀(92.8%)을 제외하고는 밀(0.5%), 콩(6.6%), 옥수수(0.7%) 등은 거의 수입한다.

식습관이 바뀌면서 쌀은 갈수록 적게 먹는다. 지난해 국민 한 명이 먹은 쌀은 56.9㎏으로 1991년(116.3㎏)의 절반이다. 섭취량이 가장 많이 늘어난 품목은 육류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민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2000년 31.9㎏에서 2019년 54.6㎏까지 늘었다. 밀 소비량은 1인당 33㎏ 전후로 큰 변화가 없다.

우리나라는 사료의 절반가량을 수입한다. 식량 자급률은 40%를 넘는데 곡물 자급률이 20%가 안 되는 까닭은 사료 때문이다. 축산물 생산에서 사료비가 재료비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세계 곡물값이 오르면 사료비와 고기값도 충격을 받는 취약한 구조다.

사료용 밀은 주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 수입했다. 두 나라는 전 세계 밀 수출량의 25%를 차지한다. 밀 수출량은 적지만 세계 2위 생산국인 인도가 지난 13일(현지시간) 밀 수출을 금지했다. 인도가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밀 부족분을 보충해 줄 것이라 기대했던 터라 국제시장의 충격이 크다.

식량이 무기가 돼 가는 세상. 우리 정부도 올해 국산 밀 비축물량을 지난해보다 5600t 늘어난 1만 4000t으로 잡고 매입 시기도 한 달 앞당겨 6월 말부터 사들인다. 비축용으로 보관하는 한편 일부는 식품기업에 공급하는 등 밀 관련 비용 일부를 지원한다. 국내 밀 산업이 몰락한 것은 미국의 밀가루 무상원조 탓이 컸다. 정부 정책이 예기치 않던 부작용을 낳는 대표적인 사례다. 식량안보 정책은 필요하지만 자급률을 높이는 데 따른 부작용도 점검해야 한다.

전경하 논설위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