뚝..뚝..교사 자부심 떨어지는 소리.."스승의날 → 교육의날" 목소리도
[경향신문]
15일 스승의날을 맞아 주요 교원단체들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교사들은 점점 자부심이 떨어지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 달라진 시대상을 반영해 스승의날 대신 교육의 공적 가치를 함께 고민하는 취지의 ‘교육의날’로 바꾸자는 제안도 잇따르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4월29일~5월6일 전국 남녀 교원 843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스승의날 교원 인식 설문조사’를 보면 최근 1~2년간 사기가 떨어졌다고 응답한 비율은 78.7%에 달했다. 2009년 설문조사에서 같은 질문에 대한 응답률이 55.3%였던 데 비하면 23.4%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다시 태어나도 교직을 선택하겠느냐’는 질문에 대한 긍정 응답률도 29.9%에 그쳐 교총이 해마다 실시하는 이 설문조사에서 올해 처음으로 긍정 응답률이 30% 아래로 나타났다. 직무 만족도 역시 33.6%로 6년 전(70.2%)의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다른 교원단체들이 발표한 조사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확인됐다. 실천교육교사모임이 진행한 스승의날 인식 설문조사에서도 교사로서 스승의날에 보람을 느낀다는 응답은 4.6%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38%는 ‘평소와 다르지 않다’고 답했고, 28.9%는 ‘부담스럽다’, 26.4%는 ‘오히려 자긍심이 떨어진다’고 답했다. 이처럼 스승의날에 특별한 감정이 들지 않거나 불편한 이유를 묻는 문항(복수응답)에 대해 ‘교원에 대한 언론보도 및 SNS 등 부정적 여론’(72.3%), ‘교원을 존중하는 문화가 약화됨’(56.5%), ‘청탁금지법 시행 후 논란’(45.6%) 순으로 응답 비율이 높았다. 교사노동조합연맹(교사노조)의 설문조사에서도 교직 만족도에 대해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의 46.8%를 차지했다.
현실을 감안해 스승의날을 ‘교육의날’로 바꾸자는 목소리도 힘을 얻고 있다. 교사뿐 아니라 학생과 학부모까지 교육의 출발점과 진행과정, 공적 가치를 함께 고민하는 취지의 날을 만들자는 주장이다. 실천교육교사모임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 80.7%가 ‘교육의날’ 전환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한희정 실천교육교사모임 회장은 “가르치고 배우는 일이 일상이 된 사회에서 교직을 보는 관점이 다양해졌는데도 교사를 스승이라고만 보는 도식에 얽매여 있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anarq@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 국방부 대변인 “천공, 지난해 한남동 공관 방문…전 육참총장에 들었다”
- 송중기, 아빠 된다…“혼인신고 하고 오는 길”
- 현아·던, 결별 2달 만에 재결합?
- ‘목욕탕이냐’ 한달 수도요금 650만원···세탁기 호스 빠져 1108t ‘콸콸콸’
- 4인가구 2월 전기료, 1만1200원 오른다...누진제 걸리면 ‘요금 폭탄’
- ‘국민의힘 대표 출마’ 30대 천하람 “이준석 넘어설 것”
- 박정희 기념에 1200억 쓰고도…“1000억 더”
- [단독]‘박은정 검사 남편’ 이종근 검사장 사의
- “건초더미서···” 호주, 1400㎞ 고속도로 수색 끝에 손톱 크기 방사성 캡슐 찾았다
- ‘썩은 배추’로 김치 만들어 판 ‘김치명장 1호’ 재판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