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상승에 사우디 아람코 1분기 순이익 80%↑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총 규모에서 세계 1위인 사우디아라비아 국경석유회사 아람코의 올 1·4분기 순이익이 급증했다.
1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에 따른 국제유가 급등에 힘입어 아람코의 지난 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80% 급증했다고 보도했다.
저널은 사우디 경제가 지난 1·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9.6% 성장했으며 컨설팅업체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올해 10%대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총 규모에서 세계 1위인 사우디아라비아 국경석유회사 아람코의 올 1·4분기 순이익이 급증했다.
1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에 따른 국제유가 급등에 힘입어 아람코의 지난 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80% 급증했다고 보도했다.
아람코는 이 기간 순익이 395억 달러(약 50조7000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순이익 217억 달러(약 27조8000억원)보다 82% 늘어난 것이자 2019년 12월 기업공개(IPO) 이후 최대 규모다.
아민 나세르 아람코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을 통해 유가 상승과 원유 증산이 순이익 증대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국제유가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직후인 올해 3월 14년 내 최고치인 배럴당 139달러까지 올랐고, 이날 현재도 배럴당 111달러 안팎에 머물러 있다. 이같은 고유가에 아람코 주가는 상장 후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경제를 석유 의존에서 벗어나 다변화하려 하고 있지만 아람코는 여전히 경제의 원동력으로 남아있다.
아람코 시가총액은 8조9400억 리얄(약 3150조원)을 넘어서 지난주 애플(2조3천800억 달러·약 3050조원)을 누르고 전 세계 시총 1위 기업이 됐다.
저널은 사우디 경제가 지난 1·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9.6% 성장했으며 컨설팅업체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올해 10%대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들 친구의 엄마와 수영복 입은 상태로.. 수영장 논쟁
- 전현무 "프랑스고 나발이고 일본을..." 왜 급 흥분했나?
- 주유소에서 돈 던진 벤츠, 여성 알바생 바닥에 쭈그려..논란
- "엄친아인데 결혼식 하객이 왜..." 남편 정체에 경악한 사연
- 박시은 "임신 9개월에 아기 심장 멈춰... 그래서..." 고백
- 심상치 않은 尹 지지율 근황, 대구·경북서..'반전'
- 40대 여성 장애인, 지하주차장서 웅크린 자세로 숨져
- "성형외과서 내 상의탈의 사진 유포" 직접 사진 올려 호소
- 배달 탕수욕에 담배꽁초 서비스.. 실화+사진 공개
- 엄마 시신과 2년 지낸 딸의 메모 "2020년 8월.."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