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전세가율 77% 넘어..'깡통전세'에 매매가 역전까지

고가혜 2022. 5. 15. 17: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방 중소도시의 아파트 전셋값이 매매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전세가가 매매가를 앞지르는 역전 현상까지 일어나면서 '깡통전세'의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방 중소도시(8개도)의 전세가율은 올해 3월 기준 77.1%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아파트 전세가율이 올해 70%를 넘어선 지역들은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차라리 내 집을 장만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3월 지방 8개도 전세가율 77.1%
전국 평균 68.9%…수도권 63.6%
구미·포항·김해·원주 등 역전현상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사진은 12일 서울시내 부동산의 모습. 2022.05.12.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고가혜 기자 = 지방 중소도시의 아파트 전셋값이 매매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전세가가 매매가를 앞지르는 역전 현상까지 일어나면서 '깡통전세'의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방 중소도시(8개도)의 전세가율은 올해 3월 기준 77.1%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세가율이란 주택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로, 이 수치가 높을 수록 전세가와 매매가의 차이가 적어 깡통전세 위험이 커진다.

지방 8개도 전세가율은 1년 전인 지난해 4월부터 계속 77%대를 유지하다 지난해 11월 76.9%까지 소폭 떨어진 후 다시 상승세로 전환, 77%대를 회복했다. 반면 수도권은 지난해 4월 65.1%에서 올해 3월 63.6%로 1년 사이 1.5%포인트(p) 감소했으며, 전국 평균도 같은 기간 70.1%에서 68.9%로 하락세를 보였다.

부동산 업계에선 통상적으로 전세가율이 70%를 넘어서면 위험하다고 보고 있다. 주택가격이 떨어지고 경매까지 집행된다면 원금 손실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방 중소도시 중에는 전세가율 80%를 넘기는 도시들도 적지 않다. 올해 3월 기준 전남 광양이 84.9%로 전세가율이 가장 높으며 경기 여주 84.2%, 충남 당진 83.4%, 전남 목포 83.3%, 경북 포항 82.6%, 충남 서산 82.6%, 강원 춘천 82.6%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일부 지방 단지에서는 전세가가 매매가를 앞서는 역전 현상도 일어나고 있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경북 포항시 두호동 '청우대림 2차' 아파트의 전용면적 84㎡는 지난 2월8일 1억3100만원(10층)에 거래됐지만 지난달 20일 체결된 전세 계약의 보증금은 1억5500만원(7층)으로 매매가보다 2400만원 높았다.

경북 구미시 옥계동의 '대동 한마음타운' 전용 59㎡는 지난 4월1일 6600만원(1층)에 매매됐지만 하루 뒤인 같은달 2일 이보다 2900만원이나 낮은 전세 보증금 9500만원(2층)에 계약이 체결되기도 했다.

또 경남 김해시 대청동 '갑오마을4단지 부영8차' 전용 80㎡는 지난 3월13일 1억7850만원(4층)에 매매됐지만 다음달 29일 보증금 1억9500만원(3층)에 전세 계약을 맺었다. 매매가보다 1650만원 더 높은 가격이다.

강원 원주 단계동의 '세경3차' 59㎡도 지난달 5일 8700만원(1층)에 팔렸지만 이달 11일 1억2500만원(13층)에 전세계약이 이뤄졌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평택 신장동 '동영센트럴타워' 47㎡가 지난 2월6일 1억5000만원(9층)에 전세거래됐지만 같은달 24일에는 이보다 4700만원 낮은 1억300만원(7층)에 매매됐다.

이처럼 마이너스 갭 거래가 속출함에 따라 깡통전세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아파트 전세가율이 올해 70%를 넘어선 지역들은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차라리 내 집을 장만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집을 구매하는 것은 깡통전세와 전세보증금 손실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는 방안"이라며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서면 깡통주택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므로 계약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gahye_k@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