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 생산 2위' 인도 수출 전격금지.. G7 "식량위기 악화" 반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요 7개국(G7) 정부들이 식량 안보 확보를 내세워 밀 수출 금지령을 내린 세계 2위 밀 생산국 인도 정부에 대해 "식량 위기를 더 악화시킬 것"이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이집트 정부는 인도산 밀을 계속 수입하기 위해 수출 금지령 예외 적용을 인도 정부에 요구하는 등 국제사회가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인도 정부는 밀 수출 금지령에 대한 외부의 비판에 "밀 공급을 요청하는 국가에 대해선 수출을 허용할 것이고, 수출금지령이 영구적이지 않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 식량보호주의 거세져
빵·라면값 등 추가인상 불가피
주요 7개국(G7) 정부들이 식량 안보 확보를 내세워 밀 수출 금지령을 내린 세계 2위 밀 생산국 인도 정부에 대해 "식량 위기를 더 악화시킬 것"이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이집트 정부는 인도산 밀을 계속 수입하기 위해 수출 금지령 예외 적용을 인도 정부에 요구하는 등 국제사회가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15일 인도 매체와 외신들에 따르면 인도 대외무역총국(DGFT)은 전날부터 밀 수출을 금지하되, 발표 전에 '취소불능 신용장'(ICLC)이 개설됐거나 정부가 다른 나라 정부의 요청 등으로 허가한 경우에만 수출하도록 했다.
전 세계 밀 수출량의 25%를 차지하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으로 밀 공급량이 줄자, 인도가 세계 밀 부족분을 채워줄 것이란 기대가 있었다. 하지만 지난 3~4월 때이른 폭염이 발생, 생산량이 줄어들면서 인도 정부가 수출 제한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었다. 인도는 세계 2위의 밀 생산국이지만, 자국 수요가 많아 수출 물량이 아주 많지는 않다. 인도는 2021∼2022 회계연도(매년 4월 시작)에 700만t의 밀을 수출했고, 이 중 절반 가량이 방글라데시로 수출됐다. '유럽의 빵바구니'로 불리는 우크라이나의 작년 밀 수출량은 2000만t으로 세계 6위였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올해 우크라이나산·러시아산 밀 공급이 줄어 밀가루값이 급등하면서 빵값, 라면값까지 줄줄이 올랐다. 게다가 인도산 밀 수출까지 통제되면서 가격 추가 상승과 각국의 '식량 보호주의'가 가속화할 것이란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G7 외무장관들은 독일에서 열린 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이 촉발한 식량 위기를 주요 의제 가운데 하나로 논의하고, 인도의 밀 수출 금지령을 비판했다.
G7 농업 장관들도 인도의 밀 수출 금지령이 가격 상승 위기를 악화시킬 것으로 우려했다. 젬 외즈데미르 독일 농업 장관은 G7 농업 장관 회의 뒤 "모두가 수출 규제를 하거나 시장을 닫기 시작하면 위기를 더 악화시킬 것"이라며 "인도가 주요 20개국(G20) 회원국으로서 책임을 보여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우크라이나 창고에 쌓여있는 2000만t 규모의 밀을 긴급 수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침공을 받은 뒤 밀 수확량이 급감하고, 러시아의 흑해 연안 봉쇄로 수출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인도 정부는 지난 11일까지만 해도 수출을 제한히자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하지만 폭염에 따른 밀 생산량 감소 우려와 국제시장 가격 상승, 식료품 물가 상승 등을 반영해 정부가 밀 수출을 통제하기로 입장을 바꿨다. 인도 정부는 밀 수출 금지령에 대한 외부의 비판에 "밀 공급을 요청하는 국가에 대해선 수출을 허용할 것이고, 수출금지령이 영구적이지 않다"고 밝혔다. 인도 정부는 밀을 사재기하거나, 내수시장 가격이 치솟는 현상 등을 막기 위해 수출을 통제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집트 정부는 인도산 밀을 계속 수입하기 위해 수출 금지령 예외 적용을 인도 정부와 논의 중이다. 이집트 농업부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밀 수입 부족분을 채우려고 인도산 밀을 수입할 계획이다. 이집트 농업부는 인도산 밀 수입분 6만3000t 가운데 4만5000t 이상이 인도의 밀 수출금지령 발표 전 이미 배에 실렸고, 나머지도 차질없이 수송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의 경우 밀 수입량 가운데 미국과 호주, 캐나다산이 99% 이상을 차지해 인도산 수입이 거의 없다. 다만 인도의 수출 금지령이 국제 곡물 가격 상승세를 부추길까 우려하고 있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도하작전 들켜버린 러시아군, 믿기지 않은 대대급 병력 전멸"
- "남편 집에 있나"…99% 폭락한 `루나` 대표 집에 찾아온 괴한
- `김치코인` 루나·테라 대폭락…비트코인도 3만달러 붕괴 "죽음의 소용돌이"
- `너무 위험했던 사랑`…죄수와 탈옥한 여성 교도관 끝내 극단 선택
- 사라진 초밥 십인분, 이재명 복귀 날 심경글…“일개 시민 외침은 날파리에 불과”
- 구속돼도 `공수처 무시` 尹, 檢 조기송부론도… 헌재 출석은 유력
- 최상목, 민생사업 40% 1분기 집행 "이제 시간과의 싸움"
- 삼성동 엔씨 사옥 누구 손에?… SI 앞세운 운용사 vs `현금부자`
- [기획] 美최우선주의 `트럼프 폭풍`분다… 국제 안보·통상질서 급변
- 30대도 `제2의 인생`… 5대 은행 희망퇴직 2000명 `훌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