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 경제' 힘 싣는 尹정부..'재활용 사업' 속도 낸다

박순엽 2022. 5. 15. 15: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정부가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주축으로 하는 '플라스틱 순환 경제'를 마련하겠다는 목표를 국정과제로 내걸면서 국내 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이 힘을 받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국내·외 기업들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아래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연구·개발(R&D)에 힘을 쏟고 있는 만큼 관련 시장도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이미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에 나선 관련 업계는 플라스틱 순환 경제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시장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재활용 순환 경제' 정부 110대 국정과제 포함
폐플라스틱 처리 방식, 매립·소각→열분해 전환
2026년 열분해율 10% 목표..애초 계획 앞당겨
업계 "정부와 기업 한 데 힘 모아야 시장 선점"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윤석열 정부가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주축으로 하는 ‘플라스틱 순환 경제’를 마련하겠다는 목표를 국정과제로 내걸면서 국내 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이 힘을 받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국내·외 기업들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아래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연구·개발(R&D)에 힘을 쏟고 있는 만큼 관련 시장도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플라스틱 폐기물 (사진=이미지투데이)
15일 정부 등에 따르면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새 정부의 11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재활용을 통한 순환 경제 완성’을 꼽고 이를 시행할 주관 부처로 환경부를 선정했다. 기존 대량 생산과 폐기로 이어지는 선형경제를 벗어나, 생산·유통·소비·재활용 전 과정에서 폐기물 감량과 고부가가치 재활용을 확대하는 순환 경제로 바꾸겠다는 게 목표다.

새 정부는 특히 2050년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선 플라스틱 순환 경제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다. 한화진 신임 환경부 장관도 지난 11일 취임사에서 “현재 탄소 무역장벽, 탈(脫) 플라스틱 등 환경 규범이 국제질서를 주도하고 있다”며 “이러한 흐름에 마지못해 끌려가기보다 선제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제연합(UN)이 지난 2월 플라스틱 오염 규제 협약을 만들기로 합의하는 등 기존의 석유화학 기반 플라스틱 생산과 소비를 줄이려는 국제 사회의 움직임엔 속도가 붙고 있다. 또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내 폐플라스틱 발생량도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새 정부는 플라스틱 순환 경제 구축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새 정부는 우선 회수·선별을 고도화하는 과정을 거쳐 품질 좋은 폐플라스틱은 재생 원료로 의무 사용하고, 복합재질 등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은 열분해해 원료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순환 경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매립과 소각 중심이던 폐플라스틱 처리 방식을 열분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환하겠다는 의미다.

열분해는 폐플라스틱에 열을 가해 이를 가스·오일 등으로 분해하는 방식으로, 여기서 나오는 오일은 석유화학 제품의 원료로 다시 활용할 수 있다. 새 정부는 2020년 0.9%에 그쳤던 열분해율을 2026년까지 1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2030년까지 열분해율 10%를 달성하겠다던 지난 정부의 계획을 4년 앞당긴 셈이다.

새 정부는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원료·연료화와 같은 재활용 관련 기술을 연구·개발하는 데 수천억원의 국고를 투입하는 등 정책 수립 지원 체계도 마련할 방침이다. 또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해 석유·화학제품의 원료는 물론 수소연료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법적 기반도 만들 예정이다.

SK환경과학기술원 연구원이 열분해 후처리유를 보여주고 있다. (사진=SK지오센트릭)
이미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에 나선 관련 업계는 플라스틱 순환 경제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시장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현재 LG화학·롯데케미칼·한화솔루션·SK지오센트릭·SKC·SK케미칼·효성·휴비스·삼양패키징 등은 물리적 재활용은 물론, 열분해·해중합 등 화학적 재활용 기술 상용화를 위한 R&D에도 힘을 쏟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폐플라스틱을 활용해 생산한 원료·연료를 이용하는 데 혜택을 주고 새로운 기술 도입에 규제 샌드박스를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등 정부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며 “글로벌 석유화학기업들도 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고 본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만큼 정부와 기업이 한 데 힘을 모아야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기조에 따라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 규모는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드마켓에 따르면 지난해 451억달러(58조원)였던 전 세계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의 규모는 연평균 7.5%씩 성장해 2026년 650억달러(83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박순엽 (soo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