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로 뒤바뀐 삶..평생 고통 속에 산 형님, 보고싶소"

이영주 2022. 5. 15. 15: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형님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무어가 있겠습니까. 그저 하늘에서는 모든 고통을 잊고 편안하길 바랄 뿐입니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항쟁에 참여했다가 지병으로 세상을 뜬 고 서중진 열사의 동생 서삼진(64)씨는 15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내 형의 묘소에서 "그저 먹먹할 뿐"이라며 가슴을 부여잡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고 서중진 열사 동생 삼진(64)씨, 2년 만에 묘지 참배
계엄군 무차별 구타 당한 뒤 항쟁 동참…온갖 고초 겪어
"평범했던 삶 송두리째 망가졌다…가족도 무너져" 탄식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5·18민주화운동 42주기를 사흘 앞둔 15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서삼진(62)씨가 친형인 고 서중진 열사의 묘비를 닦고 있다. 2022.05.15. leeyj2578@newsis.com

[광주=뉴시스]이영주 기자 = "(형님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무어가 있겠습니까. 그저 하늘에서는 모든 고통을 잊고 편안하길 바랄 뿐입니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항쟁에 참여했다가 지병으로 세상을 뜬 고 서중진 열사의 동생 서삼진(64)씨는 15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내 형의 묘소에서 "그저 먹먹할 뿐"이라며 가슴을 부여잡았다.

이날 서 열사 묘를 참배하고자 보성에서 올라온 그는 주름이 깊게 패인 손으로 형이 생전 좋아하던 커피를 봉분 곳곳에 뿌리며 괜한 미안함과 먹먹함을 풀었다.

서씨는 "계엄군만 아니었으면 형은 평범한 삶을 살고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 열사는 1980년 5월 당시 전남 보성에서 가구점을 운영하고 있었다. 5월 18일 남광주시장으로 가구재료를 사러 올라왔던 그는 귀갓길에 계엄군을 만나 수 시간 동안 구타를 당했다.

이름 모를 한 중년 여성이 길 가던 중, 서 열사를 구하면서 다행히 목숨을 건졌다. 이후 서 열사는 계엄군을 향한 울분을 안고 시민군에 가담했다.

끝내 5월 27일 옛 전남 도청에서 최후항쟁을 벌이다 연행된 그는 상무대의 영창으로 끌려갔다. 수 개월 동안 가족과 연락이 닿지 않았다.

이듬해인 1981년 1월이 돼서야 석방돼 가족과 재회할 수 있었지만, 모진 고문 끝에 다리를 크게 다쳐 평생을 고통 속에 지내야 했다.

서 열사를 곁에서 돌보던 가족 역시 고통을 겪어야 했다. 가업이었던 가구점이 문을 닫으면서 가세는 기울었다.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5·18민주화운동 42주기를 사흘 앞둔 15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서삼진(62)씨가 친형인 고 서중진 열사의 묘비에서 참배하고 있다. 2022.05.15. leeyj2578@newsis.com

국가 보상이 있었지만 이미 무너진 가정을 다시 세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평생을 고통 속에서 신음하며 살던 서 열사는 지난 2009년 심장마비로 자택에서 숨을 거뒀다.

그런 형을 추모하기 위해 서 씨는 매년 민주묘지를 찾았지만, 코로나19 감염 확산 탓에 최근 2년여 동안 참배하지 못했다.

설과 추석, 5월마다 묘소를 찾아왔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명절 추모가 제한돼 민주의 문 앞에서 발걸음을 돌려야만 했다.

서씨는 "심적으로 크게 지치지만 하지만 형의 한이 풀릴 때까지 묘소를 찾는 일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한 많은 삶을 살다 간 형이 그립고 또 보고싶다. 형이 하늘에선 편안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leeyj2578@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