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적 메조소프라노 테레사 베르간사 별세
[경향신문]
스페인 출신의 전설적인 메조소프라노 테레사 베르간사가 별세했다. 향년 89세.
뉴욕타임스, 오페라와이어 등 해외 매체들은 베르간사가 13일(현지시간) 고향인 마드리드에서 사망했다고 14일 전했다.
베르간사는 로시니, 모차르트 오페라로 20세기를 풍미한 메조소프라노다. 아버지는 무신론자이자 좌파였고, 두 명의 손위 형제는 프랑코 독재정권을 지지한 독실한 가톨릭 교도였다. 베르간사는 청소년기엔 어머니의 영향으로 수녀가 되기를 꿈꾸기도 했지만, 재능을 눈여겨본 마드리드 왕립음악원 음악 교사의 영향으로 성악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베르간사는 마드리드 음악원에서 훗날 남편이 된 피아니스트 펠릭스 라빌라도 만났다. 라빌라는 오랜 기간에 걸쳐 베르간사 리사이틀의 반주를 맡았다.
1957년 데뷔한 베르간사는 1959년 로시니의 <세비야의 이발사>에서 로지나 역을 맡으며 크게 주목받았다. 베르간사가 이 역을 맡아 녹음한 1971년 런던심포니오케스트라의 <세비야의 이발사> 역시 명반으로 꼽힌다. 1967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데뷔 무대에서 연기한 케루비노 역(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역시 베르간사를 대표하는 배역이다.
베르간사는 무대에 오르기 전 철저히 준비했다. 오랫동안 거절했던 <카르멘> 출연에 응한 뒤에는 관련된 많은 문헌들을 찾아 읽고, 실제 집시 생활을 하는 여성들을 수 주에 걸쳐 만나 인터뷰했다. 무대에 오를 날이 가까워지면 아이들을 돌볼 때도 자신의 입에 스카프를 두르고는 목소리를 아꼈다. 아이들에게 할 말은 글씨로 적었다. 밤에는 담배 연기를 맡을까봐 외식을 하지 않았다. 지방이나 해외 공연을 갈 때면 매일 아침마다 호텔 욕실에서 목소리를 가다듬었다. 베르간사는 2005년 르 피가로 인터뷰에서 “음이 제대로 잡히지 않으면 하루 종일 고통스러웠다”고 말했다.
베르간사는 1992년 57세에 호세 카레라스와 함께 출연한 <카르멘>을 마지막으로 오페라 무대를 떠났다. 베르간사는 70대까지도 리사이틀을 열었다.
생전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은 베르간사를 두고 “이 시대의 카르멘”이라고 말했다. 뉴욕타임스는 “베르간사는 카리스마와 관능을 발산하는 동시, 역할에 대해 엄격하고 분석적으로 접근했다”고 적었다.
백승찬 기자 myungworry@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상]윤 어게인 집회, 일 ‘재특회’ 같은 난동···양꼬치 골목 찾아 “중국으로 꺼져” 충돌
- 나경원 “대통령에 국회 해산권을···탄핵 시 직무정지도 바꿔야” 극우에 ‘러브콜’
- “잠옷만 입은 채 쫓겨나”···‘미아리텍사스’ 강제 철거에 갈등 격화
- 화장실·탈의실서 400차례 불법 촬영 20대, 징역 5년6개월
- 강남 한복판서 잇단 초등학생 ‘납치 미수’ 신고···“낯선 사람 주의를”
- 훔친 차 타고 달아난 뒤 불지른 50대 긴급체포
- ‘미인도는 위작’ 천경자 딸, 국가배상 소송 2심도 패소
- 트럼프 관세에 ‘명품백’도 발 동동···에르메스 “가격 인상”·루이뷔통 “미국 생산 증가”
- ‘밀양 성폭행 가해자 신상 공개’ 20대 유튜버 ‘징역 3년’
- [속보]법원, 윤석열 두번째 재판도 ‘지하주차장 출입’ 허용···또 ‘전례 없는 특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