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줄줄이 가격 인상 전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 1·2위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업체가 잇따라 서비스 가격 인상에 나섰다.
다만 삼상전자 관계자는 "파운드리 제조 관련 수요가 굉장히 많고 공급이 부족하다 보니 전반적으로 가격을 인상하려는 분위기가 있다"며 업계 분위기를 전했다.
업계에서는 반도체 공급이 수요를 쫓아가지 못하는 상황에서 원재료와 물류비용이 늘어 파운드리 가격 인상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파운드리 서비스 가격이 인상되면 반도체 칩 제품 가격도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 1·2위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업체가 잇따라 서비스 가격 인상에 나섰다. 파운드리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 결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13일 삼성전자가 반도체 위탁 생산 가격을 15∼20% 인상하는 방안을 고객사와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구체적인 인상폭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삼상전자 관계자는 “파운드리 제조 관련 수요가 굉장히 많고 공급이 부족하다 보니 전반적으로 가격을 인상하려는 분위기가 있다”며 업계 분위기를 전했다.
앞서 대만 TSMC도 최대 8% 이상 파운드리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닛케이아시아는 최근 TSMC가 가격 인상을 고객사에 통보했다고 전했다. 지난해 20%에 이어 또 한차례 가격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반도체 공급이 수요를 쫓아가지 못하는 상황에서 원재료와 물류비용이 늘어 파운드리 가격 인상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TSMC도 인플레이션 우려와 반도체 생산 비용 상승, 부품 공급 부족 등을 이유로 파운드리 가격을 올린 것으로 전해진다.
파운드리 서비스 가격이 인상되면 반도체 칩 제품 가격도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칩 가격 인상으로 정보기술(IT) 기기, 가전, 자동차 시장에 미칠 악영향도 우려하고 있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성, 6G 글로벌 선점 가속 페달 밟는다
- [이종호號 과기정통부 과제]〈상〉기술 패권 시대, 산업생태계 육성으로
- 4만여 회원 머지 피해자 카페, '맘카페'로 둔갑…"또 이용만 당한 꼴"
- KDFS, 건물안전관리 발빠른 대응...안전한 근무환경 만들것
- 尹 시정연설·영수회담...손실보상·인사난맥에 여소야대 직접 돌파
- '99.9% 하락' 루나 사태 일파만파…정부 긴급 점검 나서
- 권성동, 李 겨냥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제한 추진
- 건물 중대재해 예방 솔루션 출시 활발
- 소비자 "삼성 모니모, 자체 결제 안돼"...불편 호소
- 중기중앙회 60주년…'중소기업 주간' 막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