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곡물' 우회 수출 방안 고심
[앵커]
세계 각국이 러시아에 봉쇄된 항구를 대체할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경로를 고심하고 있습니다.
일단 이웃 국가를 통한 육로수출이 대안이긴 한데, 얼마나 효과적일지는 미지수입니다.
보도에 이상순 기자입니다.
[기자]
흑해와 접한 루마니아 콘스탄타 항구는 요즘 부쩍 물동량이 많아졌습니다.
우크라이나산 곡물이 가득 실린 트럭 행렬 때문입니다.
[플로린 고이다 / 콘스탄타 항구 총지배인 : 항구 가동률이 지난해에 비하면 10∼11% 증가했습니다. 이런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우크라이나 곡물은 트럭 말고도 열차와 바지선에 실려 폴란드와 슬로바키아로도 들어가고 있습니다.
오데사 등 주요 항구가 러시아에 봉쇄됐기 때문입니다.
[스테판 / 트럭 운전사 : 모든 게 막혔어요. 바다도 막히고 무역 관계도 닫혔습니다. 그래서 루마니아를 통한 새로운 경로를 개발해 해야 했습니다.]
해외로 수출하지 못하고 우크라이나에 묶여 있는 곡물은 현재 2천5백만 톤.
이 여파로 중동과 아프리카에서부터 식량 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지난 12일 열린 G7 외무장관회의의 주요 의제도 우크라이나 곡물의 대체 수출방안이었습니다.
[쳄 외츠데미어 / 독일 농업부장관 : G7은 세계를 잊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는 시장이 닫히는 것을 원치 않습니다. 시장은 열려 있어야 하고 투기적 시장 행위에 맞서 우리가 함께 대응하기를 원합니다.]
육로를 통한 수출이 유일한 대안이지만 수송 가능 물량은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우크라이나는 세계 3위 보리 수출국이자 세계 5위 밀 수출국입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침공 이후 곡물 창고를 약탈해 자국으로 가져가거나 파괴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YTN 이상순입니다.
YTN 이상순 (ss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테라' 권도형 CEO "내 발명품, 모두에게 고통 줬다"
- YTN
- 부부싸움 하다 5살 딸 목 조른 아빠...딸 용서에 징역형→벌금형
- [자막뉴스] 현장에서 생포된 21살 러시아군의 충격적인 자백
- [자막뉴스] '최악의 가뭄' 1,300만 명이 굶주리는 아프리카 현재 상황
- "누가 볼까 부끄럽다" 엑스포 홍보 영상서 '사우디 조롱'
- 친아들 살해 美 여성 출소 앞두자...남성 6명 앞다퉈 구애
- "시그니엘 산다"던 전청조, 알고 보니 3개월 단기 임대
- 유승준, '비자 발급' 2차 소송도 최종 승소...대법원 판단 이유는 [지금이뉴스]
- 尹, 3번째 거부권 행사할 듯...연말 정국 '냉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