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개월간 암호화폐 시총 1조 달러(1284조) 증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위험자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암호화폐(가상화폐) 시총이 불과 6개월 사이에 1조달러(약 1284조원) 이상 증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지난해 11월 각각 6만7802달러, 4800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13일 현재 최고점에서 58%, 60% 각각 하락한 상태다.
이에 따라 지난 6개월 사이에 암호화폐 시총이 1조 달러 이상 사라졌다.
13일 현재 암호화폐 시총은 약 1조2000억 달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위험자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암호화폐(가상화폐) 시총이 불과 6개월 사이에 1조달러(약 1284조원) 이상 증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지난해 11월 각각 6만7802달러, 4800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13일 현재 최고점에서 58%, 60% 각각 하락한 상태다.
이에 따라 지난 6개월 사이에 암호화폐 시총이 1조 달러 이상 사라졌다. 시총이 전고점 대비 반토막 난 것이다. 13일 현재 암호화폐 시총은 약 1조2000억 달러다.
암호화폐는 지난해 테슬라가 15억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을 매수하고, 미국 최대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가 뉴욕증시에 상장하자 사상최고치를 기록했었다.
특히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코인들은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언급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한국의 테라가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테라USD(UST) 가격이 붕괴하며 암호화폐 시장 전체를 끌어내리고 있다.
시총 1위 비트코인은 지난 1주일간 16.54%, 시총 2위 이더리움은 22.96%, 시총 5위 바이낸스코인은 22.23% 각각 폭락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준은 40년래 최고로 치솟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암호화폐, 주식 등 위험자산을 포트폴리오(투자구성)에서 속속 빼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sinopark@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결정사서 만난 요가 강사 아내, 자기 몸 촬영 음란 채팅…이혼하고 싶다"
- "새벽 돌싱 알바와 단둘이 술 마신 남편, 전화까지 바꿔줘 열불" 분통
- "애 셋 딸린 유부남을 왜 만나요?"…남친과 동거 중 찾아온 여성, 정체 '폭로'
- 김부선 "이재명은 퐁당 빠질 만큼 매력적…홍준표, 명태균 해명이나 해라"
- 상간녀 집에 몰카 설치 불륜 장면 생중계…아내의 응징, 처벌은?
- 쥬얼리 출신 조민아, 전국 1위 보험왕 됐다 "앞으로도 오래 하자"
- '트와일라잇' 크리스틴 스튜어트, 6년 열애 동성 연인과 결혼식
- '순돌이' 이건주, 44년 만에 어머니와 재회…결국 오열
- "고부 갈등 중재 못한 의사 남편 탓"…외국인과 바람피운 아내 용서
- 신정환 "女 연예인, 사업가 3명 동시에 만나…금액까지 말하더라" 성접대 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