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반발 매수세에 일제히 급등..나스닥 3.82%↑

김지은 2022. 5. 14.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뉴욕증시는 13일(현지시간) 최근 며칠간 하락한 데 따른 반발 매수세로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전날보다 466.36포인트(1.47%) 오른 3만2196.66으로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93.81포인트(2.39%) 높은 4023.8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34.04포인트(3.82%) 상승한 1만1805.00에 장을 마감했다.

테슬라는 전장 대비 5.71% 상승 마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욕= AP/뉴시스]뉴욕 맨해튼의 월스트리트 입구에 있는 도로표지판. 맨해튼 연방검찰은 일본에 본부를 둔 범죄조직 야쿠자의 4명이 미사일과 마약을 거래하려다가 체포돼 기소되었다고 7일 발표했다. 미사일은 미얀마에 팔려던 것이고 마약은 뉴욕시장에 판매하려던 것으로 밝혀졌다. 차미례 기자 =FILE - The New York Stock Exchange operates during normal business hours in the Financial District, Wednesday, Oct. 13, 2021, in the Manhattan borough of New York. Stocks are inching higher in the early going on Wall Street Thursday, March 24, 2022 as a streak of cautious trading continues on world markets. (AP Photo/John Minchillo)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미국 뉴욕증시는 13일(현지시간) 최근 며칠간 하락한 데 따른 반발 매수세로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전날보다 466.36포인트(1.47%) 오른 3만2196.66으로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93.81포인트(2.39%) 높은 4023.8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34.04포인트(3.82%) 상승한 1만1805.00에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이번 주 들어 3.5%가량 떨어졌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4.7%, 6.4%가량 밀렸다.

기술주가 강세를 나타냈다. 테슬라는 전장 대비 5.71% 상승 마감했다. 반도체주인 엔비디아, AMD도 각각 9.47%, 9.26% 치솟았다. 넷플릭스(+7.65%), 메타플랫폼(+3.86%), 애플(+3.19%) 등도 일제히 올랐다

다만 트위터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에 가짜 계정이 얼마나 많은지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때까지 인수를 일시 보류하기로 했다고 언급하면서 10% 가까이 밀렸다.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 우려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행보, 경기 침체 위험, 가상화폐 시장의 여파 등을 주목했다.

전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경기침체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이른바 '연착륙' 달성에 대해 "꽤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한번에 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날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가격은 각각 7%, 9% 이상 반등하면서 가상화폐 루나와 스테이블코인 테라USD발 불안은 다소 진정됐다.

국제유가는 올랐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4.36달러(4.1%) 상승한 배럴당 110.49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이는 종가 기준 3월 25일 이후 최고치다.

유럽연합(EU)의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금수 조처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면서 공급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kje1321@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